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대한민국 저출산 문제

“한국 망했네요 소리 나오는데 이제야”…해외 저출산 연구하겠단 정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년 50조원 안팎의 예산을 쏟아붓는데도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을 기록하는 가운데 정부가 저출산 대응을 위해 5년만에 해외 주요국의 정책 사례 분석에 나선다. 이미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역대 최저인 0.78명을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뒤늦은 대응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29일 조달청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저출산 정책 해외사례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연구는 한국보다 먼저 초저출산을 경험한 국가들의 임신·출산·양육지원 정책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된다.

저출산에 빠졌다가 출산율 반등에 성공한 국가와 실패한 국가을 두루 살펴 정책 효과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프랑스와 스웨덴, 독일 등은 초저출산에 진입한 뒤 출산율 반등에 성공했다. 독일의 경우 2005년 합계출산율이 1.34명 수준으로 내려앉은 뒤 지속적으로 상승해 지난해 1.6명을 기록했다. 프랑스와 스웨덴 역시 1990년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가 반등했다.

반면 홍콩과 싱가포르 등 동아시아 국가들의 반대의 길을 걷고 있다. 유엔인구기금(UNFPA)에 따르면 홍콩의 합계출산율은 0.8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싱가포르 역시 작년 역대 최저수준인 1.05명으로 떨어졌다.

복지부 차원의 해외 저출산 연구가 진행된 것은 2018년 이후 5년만이다. 그간 일본 등 가까운 국가들의 저출산 정책들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뤄졌지만 저출산 극복 모범사례로 불리는 유럽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는 5년만에 착수하는 것이다. 문제는 그동안 한국의 출산율은 급감해왔다는 것이다. 합계출산율은 2018년 처음으로 1명 아래(0.98명)으로 떨어진 뒤 매년 하락하며 지난해엔 0.78명을 기록했다. 올해 역시 매월 출생아수가 전년동월 수준을 하회하며 0.7명선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각에선 매년 수십조원의 예산이 저출산 극복을 위해 쓰이고 있는 가운데 정책 도출의 기본단계인 사례 분석 단계가 외면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지난해 저출산 대응 예산은 51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에 따라 예산을 편성한 2006년부터 300조원이 넘는 돈을 쏟아부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수는 “관광지 개발, 창업자 발굴 등 애먼 곳에 저출산 예산 수십억원이 들어가지만 정책을 위한 실질적인 연구는 늦어진 감이 있다”며 “실제 필요한 저출산 정책 발굴을 위한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