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연금과 보험

보험사 상반기 순이익 9.1조원…IFRS 도입 효과로 63%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금융감독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험사들이 올해 상반기에 9조여원의 역대급 순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새 회계기준(IFRS9·IFRS17) 도입으로 보험사의 회계상 이익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생명·손해보험사의 올해 상반기 순이익은 9조1440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63.2% 늘었다.

손해보험사의 순이익은 올해 상반기 5조328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55.6% 증가했고, 생명보험사 순이익은 3조8150억원으로 75.0% 증가했다.

금감원은 “보장성 보험 등 판매 증가로 실적이 개선되고 회계제도 변경(IFRS9·IFRS17 도입)으로 보험 손익이 올라간 영향”이라고 밝혔다. 보험사의 올해 상반기 수입 보험료는 111조336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7%가 늘었다.

지난 6월 말 기준 보험사의 총자산은 1169조원으로 지난해 12월 말보다 10.8% 줄었다. 자기자본은 167조원으로 87.9% 급증했다. 회계 제도 변경으로 자산이 감소했지만 보험부채 시가 평가 등으로 부채가 더 줄어 자본은 늘었다.

금감원은 이번 상반기 보험사들의 역대급 실적이 새 회계제도 도입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IFRS9가 도입되면 보험사는 당기손익에 귀속되는 유가증권이 늘면서 금융상품 평가이익이 증가한다.

IFRS17 도입으로는 새로운 계약의 비용 인식 기간이 확대(7년→보험기간)돼 당기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험계약 이자비용이 보험손익에서 투자손익으로 변경되면서, 보험손익이 증가하고 투자손익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동안 보험업계에서는 IFRS17 도입으로 보험사가 수익성 지표인 보험계약마진(CSM)을 크게 산출해 실적을 부풀릴 수 있다는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IFRS17는 보험사가 CSM을 산출할 때 손해율, 유지율 등 주요 변수를 자율적으로 예상해 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적 부풀리기 논란에 금감원은 CMS 산출 가이드라인 등을 마련했는데, 이는 3분기 실적부터 반영될 예정이다. 금감원은 “보험업계 및 회계법인 등과 함께 주요 계리적 가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면서 “보험감독 회계의 주요 가정에 대한 감독을 지속해서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채영 기자 c0c0@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