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오염수 방류 악화일로 속…왕이 “한국, 자주성 강화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1일 한-중 외교장관 통화서…캠프데이비드 합의 견제

한겨레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과 박진 한국 외교장관이 지난 7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미·일 ‘3각 동맹’으로 가는 첫 발을 뗀 캠프데이비드 정상회담과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처음 한-중 외교장관이 전화로 의견을 나눴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 겸 중앙 정치국 위원은 한-중 관계가 “제3자의 영향을 받아선 안 된다”, “한국이 전략적 자주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에둘러 불만을 쏟아냈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달 31일 밤 자료를 내어 왕이 부장이 이날 박진 한국 외교장관과 전화 통화에서 “중국의 대한 정책은 연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해 왔다”면서 “양국 관계가 발전해온 것은 내적인 동력과 필연적 논리에 의한 것으로 제3자의 영향을 받아선 안 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중-한 쌍방은 국교 수립의 초심을 견고히 지켜야 하고, 우호 협력의 정확한 방향을 유지하며, 양국 인민들의 상호 이해를 지속 발전시키고, 외부 요소의 간섭에 대비하고 이데올로기적 선 긋기를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나아가 “한국은 전략적 자주를 강화하고, 각종 세계화에 역행하려는 조작과 ‘공급망 단절’을 저지하며, 각 분야의 호혜협력을 심화해 양국 인민을 더 행복하게 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이 지난달 18일 캠프데이비드에서 이뤄진 한 ·미·일 정상회담을 통해 중국이 격렬한 반대 입장을 밝혀온 한·미·일 3각 동맹 쪽으로 결정적 한발을 내디뎠음에도 상대적으로 온건한 반대 입장만을 밝힌 셈이다.

중국이 이런 태도를 보인 것은 일본이 지난달 24일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를 시작하며 중-일 관계가 급격히 악화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국이 방류 당일부터 일본산 모든 수산물의 수입금지를 결정하자, 일본 정부는 강력 항의하며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까지 강하게 압박하면 한·일이 중국을 상대로 공동 대응에 나서게 될 수 있다.

한국 외교부도 이날 밤 늦게 자료를 내어 박 장관아 “희토류·원자재 등 한국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당부했으며 양국이 “한·일·중 3국 정부간 협의체의 조속한 재가동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