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법원장은 오는 24일 퇴임을 앞두고 지난달 31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그는 임 전 부장판사가 연루된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과 관련해 2018년 검찰 수사에 협조한 것에 대해 “그 시점에 다시 돌아가도 같은 결정을 했을 것”이라며 “당시 사상 초유로 대법정이 점거되는 사태가 있었다. 저로서는 절박함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무렵이 가장 힘든 시간이었고 그야말로 불면의 시간이었다”며 “추가 조사가 여러 번 있었고 결과에 수긍할 부분도 있었지만 우리 자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지 의문이 많았다”고 덧붙였다.
김명수 대법원장. 대법원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관련 혐의로 기소된 판사 상당수가 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것에 대해선 “결코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김 대법원장은 지난 6년 재임 기간 사법부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다는 비판에 대해서 반박하기도 했다. 그는 “사법부의 신뢰는 민주적인 사법행정에서도 나오겠지만 근본 토양은 재판”이라며 “어떤 판결을 했느냐가 그 대법원을 상징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자에 대한 질문에 “제 고향 후배이자 대학 동기이고, 같은 대법관을 모시는 전속연구관으로 함께 일했다. 서로 친했다고 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 후보자가 최근 ‘사법부 신뢰 회복’을 강조하는 것에 대해선 “저도 추구하는 보편적 가치다. 어느 대법원장이 그것을 추구하지 않겠느냐. 그런 일들이 잘 진행돼 뜻한 성과를 이루기 바란다”며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김 대법원장은 형사전자소송 도입을 뿌듯한 업적으로 꼽고 이루지 못해 아쉬운 점은 상고제도 개선을 언급하며 “첩첩산중이었지만 오리무중은 아니었다. 큰 성과를 냈다고 하긴 어렵지만, 불면불휴하며 우공이산의 마음으로 일했다”고 회고했다.
안경준 기자 eyewher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