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이번엔 태양관측 인공위성 발사한 인도...달 남극 착륙 10일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2일 인도 스리하리코타의 우주센터에서 '아디트야 L1' 우주선이 위성 발사체에 실려 이륙하는 모습/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달 세계 최초로 달 남극 착륙에 성공해 지구촌의 이목을 집중시킨 인도가 이번에는 처음으로 태양 관측용 인공위성을 발사했다. 태양 주위를 맴도는 공전 궤도에 위성을 올려놓는 것은 아시아 국가로서는 처음이다.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2일 오전 11시 50분(현지 시각) ‘아디티아 L1′(Aditya L1) 인공위성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주 스리하리코타 우주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인도 매체들이 보도했다. 아디티아는 산스크리트어로 ‘태양’을 의미한다.

아디티아 L1은 인도 국산 발사체 ‘PSLV C57′에 실려 목표지점인 라그랑주 1지점까지 125일을 날아간다. PSLV C57의 무게는 320t이다. 태양과 지구 사이에 있는 라그랑주 1지점은 지구로부터 약 150만km 떨어져 있다.

7개 기기를 탑재한 아디티아 L1이 라그랑주 1지점 주변 궤도에 안착하면 가려지지 않은 채 태양을 계속 관측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관측은 지구상에서는 불가능하다. 라그랑주 1지점은 태양과 지구의 중력 효과가 상쇄돼 제자리에서 정지 비행(호버링)을 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는 지구와 동일한 속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할 수 있다는 의미인데, 이렇게 되면 위성이 작동하는 데 연료가 거의 필요하지 않게 된다.

아디티아 L1은 ‘코로나 가열’과 태양풍 등 태양 대기를 관측하게 된다. 코로나 가열은 태양 상층부 대기인 코로나가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가열되는 것을 말하는데, 가열 과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위성 발사는 지난 달 23일 인도가 무인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를 달 남극에 안착시키는 데 성공한 지 10일 만에 이뤄진 것이다.

BBC는 “이번 발사가 성공한다면 일본, 미 항공우주국(NASA)와 유럽우주국(ESA)에 이어 네번째로 태양을 직접 관측하는 국가 명단에 오르게 된다”고 설명했다. ISRO는 임무 비용이 얼마인지 밝히지 않았지만 인도 언론 보도에 따르면 비용은 37억 8000만 루피(604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류재민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