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영화계 소식

“걸작을 왜 만들어요?”…‘OTT·틱톡의 시대’ 영화의 의미를 묻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화 ‘거미집’…1970년대 영화감독 분한 송강호

한겨레

영화 ‘거미집’ . 바른손 엔터테인먼트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 시대의 영화란 무엇일까. 팬데믹은 종식됐지만 질문은 끝나지 않는다. 100년 동안 가장 대중적인 볼거리이자 예술로 받았던 사랑을 불과 2~3년 만에 오티티(OTT)와 유튜브, 틱톡에 뺏겨버린 영화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영화 ‘거미집’은 이런 질문에 김지운 감독이 내놓은 답변 같은 영화다. 김 감독 자신과 여러 선배 감독들이 투영된 듯한 영화감독 김열(송강호)이 걸작을 만들기 위해 이리 뛰고 저리 뛰는 이야기를 통해 영화를 만드는 기쁨과 고통, 그리고 관객을 매혹시키는 장면들의 탄생 과정이 2시간 10분에 담겼다.

영화의 배경은 한국영화의 암흑기로 일컬어지던 1970년대다. 강도 높은 시나리오 사전 검열이 이뤄지고 정부가 드라마의 맥락과 상관없이 반공 장면을 넣으라고 요구할 수 있었던 그 시절, 김열 감독은 스승인 신성호 감독과 늘 비교당하며 싸구려 영화나 만든다는 평가에 열등감을 느낀다. 김열은 한 작품의 촬영을 마칠 무렵 자다가 꾼 꿈에서 영감을 얻어 결말 장면을 수정하면 걸작이 나올 것 같은 확신이 든다. 이미 시작된 세트 철거를 중단시키고 바쁜 배우들을 다시 불러 이틀만 더 찍으려고 하는데 정작 수정 시나리오가 검열에서 반려돼 촬영허가를 받지 못한다.

한겨레

영화 ‘거미집’. 바른손엔터테인먼트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영화 ‘거미집’. 바른손 엔터테인먼트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에 없던 새로운 영화를 만들어야 한다’는 열정으로 김열은 본래 시나리오에서 바람난 남편에게 버림받고 목숨을 끊는 비련의 여주인공 민자(임수정)를 복수의 화신으로 바꿔놓는다. 하지만 당시 이런 결말은 ‘미풍양속’을 저해하는 검열 대상.

김열은 새로 쓴 결말 부분에 ‘플랑 세캉스’라고 써놨다. 등장인물마다 “플랑 세캉스가 뭐야?”라고 묻는 이 단어는 ‘원씬원컷’ 즉, 끊기지 않는 한 번의 카메라 워크로 완성하는 시퀀스를 말한다. 미장센과 연기, 조명과 카메라가 한 순간의 오차도 없이 완벽하게 합을 이루지 않으면 해낼 수 없는 기법이다. ‘플랑 세캉스’는 영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감독의 단답형 답변이고 2시간 이어지는 스크린은 이 답에 대한 주석인 셈이다.

‘거미집’은 엔딩의 ‘플랑 세캉스’에 도착하기 위한 소동극처럼 전개된다. 추가 촬영을 위해 억지로 끌어모은 배우들은 저마다의 사정으로 아우성치고, 제작자 백회장(장영남)은 “걸작을 왜 만들어요? 그냥 하던 거 하세요”라며 저지한다. 임대 끝난 카메라를 가져가려는 사람들이 빚쟁이처럼 서 있고, 검열 책임자는 아예 촬영장 앞에 술상을 차렸다. 이런 ‘엉망진창’의 앙상블이 ‘플랑 세캉스’처럼 유려하게 펼쳐지는 게 ‘거미집’의 가장 큰 재미다.

김지운 감독은 14일 시사 뒤 열린 간담회에서 “연기 잘하는 배우들이 대사를 주고받으면서 앙상블 코미디를 완성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1970년대의 촌스럽고 과장된 말투를 연기하는 배우 역할을 맡은 임수정, 정수정, 오정세와 김열 감독의 재촬영을 어떻게든 성사시키고 싶어하는 제작자 조카 미도역의 전여빈 등이 서로 경쟁하고 질투하고 남몰래 사랑하면서 벌이는 ‘대환장파티’가 시종 흥겹게 리듬을 탄다.

물론 이 모든 야단법석의 중심에는 칸 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작 ‘브로커’보다 더 뛰어난 연기를 펼치는 송강호가 있다. 통제되지 않는 현장을 애써 이끌면서 대역까지 연기하며 영화에 빠져드는 김열을 연기하는 송강호의 존재는 오티티와 유튜브와 틱톡이 빼앗아갈 수 없는 영화의 마지막 영토와 같은 경이감을 준다. 27일 개봉.

김은형 선임기자 dmsgud@hani.co.kr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