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정치계 막말과 단식

이재명-문재인 손 잡았지만…'단식 중단' 언제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단식 중단은 표결 이후"

수액을 맞으며 21일째 단식을 이어가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문재인 전 대통령이 찾아 단식을 만류했지만, 이 대표의 의지는 꺾이지 않았다. 일단 체포동의안 표결이 있는 21일까지는 단식이 유지되고, 그 이후에도 단식이 장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당 내에서는 대통령실이나 여당의 응답이 없더라도 스스로 단식을 중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원욱 민주당 의원은 20일 SBS '김태현의 정치쇼'서 "제가 볼 때는 이 대표는 체포동의안 표결 이후에도 며칠 더 할 것"이라며 "체포동의안 표결이 내일로 예정돼 있는데 그 이전에 풀 가능성은 저는 아예 없다고 보인다"고 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 전 대통령은 전날 이 대표를 찾아 "단식의 결기는 충분히 보였고, 길게 싸워 나가야 한다"며 단식을 만류했으나, 이 대표는 "잘 알겠습니다"라고만 대답하고 단식을 중단하겠다는 말은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는 그의 단식이 체포동의안 표결이 있는 21일까지는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용호 국민의힘 의원은 전날 CBS '박재홍의 한판승부'서 "이 단식은 우리 국민의힘의 입장에서는 사법리스크를 피하고 체포동의안을 피하기 위해서 그런 것이 아니냐 이렇게 보기 때문에 어차피 21일 날 체포동의안이 처리될 걸로 보는데, 그때까지는 수액 단식 계속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한다"고 했다.

정치평론가인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는 "이 대표의 단식은 체포동의안 표결과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체포동의안 표결이 이루어진 다음에 단식을 풀어도 풀 것"이라며 지금 구속될 가능성이 자기가 봐도 상당히 높기 때문에 무슨 수를 써서라도 이건 부결을 시켜야 되는 것"이라고 했다.

표결이 이뤄진 이후로도 단식이 이어져 장기화될 경우 정국 동력 자체가 상실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상민 민주당 의원은 채널A 라디오 '정치시그널'서 "문 전 대통령을 비롯해서 당의 원로들도 이 대표를 직접 찾아와서 중단을 권고했고 또 국민들도 그렇고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이 대표가 어쨌든 지금 국민들도 더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도 많고 정기 국회를 해야 할 일도 많은데 당대표가 저렇게 단식해서 오랫동안 가면 정국을 풀어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며 "물론 이거를 푸는 건 윤석열 대통령과 집권 여당이 했으면 좋겠지만 그런 걸 기대하기 어렵다면 원내 제1당으로서의 오히려 주도적인 당대표로서의 리더십을 보여야 하지 않을까"라고 했다.

단식 중단의 계기가 없어도 스스로 중단하는 '결기'가 필요하다는 것. 이 의원은 "오히려 푸는 걸 이 대표가 먼저 그냥 푸는 것으로 하는 게 어떨까. 그렇다면 지금 단식을 별도로 얻는 것도 없는데 그만두는 것이 명분이 없지 않냐, 이런 갈등이 있을 수 있지만 또 멈춰 서는 것도 큰 용기"라며 "지금 해야 할 더 많은들을 생각하면 이 대표가 단식을 멈추는 걸 스스로 용기를 내는 것이 정국을 풀어가는 하나의 단초가 되지 않을까"라고 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