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연금과 보험

공무원연금, GEPS 2050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탄소중립 정책 선도적 추진

[이데일리 김성수 기자] 공무원연금공단(이하 공단)은 21일 ‘GEPS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탄소중립 로드맵은 정부의 2050 탄소중립 계획에 발맞춰 향후 27년간 공단의 탄소배출량을 제로로 만들기 위한 연차별 계획이다.

이데일리

(사진=공무원연금공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문기관 컨설팅을 통해 마련한 이 로드맵은 탄소배출원과 탄소배출량 분석,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현황 조사 결과를 담고 있다. 또한 공단 보유시설에 대한 탄소배출 감축량 산정을 실시해 실제 적용 가능한 탄소배출 절감 시나리오를 마련했다.

공단은 이 로드맵에 따라 탄소배출량을 단계적으로 2030년 50%, 2040년 75%로 감축하고, 2050년에는 탄소 중립을 실현한다는 구상을 내놨다.

온실가스 감축방안으로 태양광,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시설 확대, 내연기관 차량의 전기차 교체, 그린리모델링 도입,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 등을 연차별로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27년간 총 185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REC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기를 생산했다는 사실을 증명해주는 인증서다.

특히 공단이 운영 중인 호텔, 골프장 등 시설에서도 작업차량 전동화, 화석연료시설 전기화, 풍력·지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도입해 탄소 배출량 감소 계획을 수립했다. 이는 향후 민간 유사시설에서 탄소중립 계획을 추진하는데 있어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공단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투자 확대, K-RE100 가입 등을 통해 ESG 경영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 말에는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를 총망라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해 대내외 이해관계자와 소통할 계획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