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지난 3월 국내 대학 연구팀과 함께 ‘플라스틱 대한민국 2.0 보고서’를 발표했는데요. 보고서에는 2021년 국내 폐기물이 총 1193만2000t에 달한다는 충격적인 수치가 담겨 있습니다. 2017년 대비 49.5%나 증가한 양입니다.
또한 국민 1인당 일회용 플라스틱 컵은 2020년 65개에서 102개로 56.9%, 생수 페트병은 96개에서 109개로 13.5% 각각 늘었다고 합니다.
일회용 플라스틱은 우리에게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동시에 환경 오염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사용량을 줄이는 데에도 한계가 있는 탓에 잘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방법을 각 기업과 단체에서 연구하고 있지요.
덕분에 주로 생활용품과 포장 용기, 패션과 건축 등 소재로 재탄생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을 살펴보았습니다.
◆폐플라스틱, 비누가 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플라스틱이 비누가 된다고? 진짜 이게 가능할까요?
미국 버지니아 공대팀은 플라스틱을 이루고 있는 주요 소재인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PP)을 이용해 비누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는데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PE의 화학 구조가 비누의 지방산 구조와 유사하다는 연관성을 발견하고 가열해 지방산을 생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기존에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집→분류→세척→파쇄→분리→컴파운딩(조합)→성형’ 등 복잡한 단계를 거치거나 값비싼 촉매를 사용해야 하지만, 열분해 방식을 써 더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도 부가가치가 더 큰 비누를 생산할 수 있다는 데 이번 연구의 실효성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 보조제로 변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포장재나 의류, 가방, 연료, 건축 자재 등으로 쓰고 있는데요.
최근 플라스틱 쓰레기를 이용해 ‘식품’을 만드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미 국방 고등연구 기획국(DARPA)은 군대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인간이 섭취할 수 있는 대량 영양소로 바꾸는 방법을 연구 중인데요. 2020년 박테리아를 사용해 플라스틱을 단백질 분말로 바꾸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DARPA는 이를 위해 일종의 블랙박스 프로세서를 개발했는데요. 플라스틱 쓰레기를 넣고 열로 분해한 뒤 박테리아실로 옮기면 빠르게 분해하여 단백질 분말로 바꿀 수 있다고 합니다.
폐플라스틱을 먹어 없앤다는 것은 언뜻 신박해 보이지만, 섭취 자체가 생소하고 꺼려지는 탓에 인식부터 바꿔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보입니다.
◆페트병에서 의약품 원료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화학연구원은 앞서 2019년 페트병, 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의약품을 만드는 원료 생산 기술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화학적 분해를 통해 PET를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로 분해하고, 다시 미생물을 활용해 테레프탈산을 갈산과 카테콜, 피로칼롤, 뮤콘산, 바닐락산으로 전환했습니다.
비누나 식품 등으로 변신한 폐플라스틱, 어떤가요? 비누는 한번 사용해보고 싶은데, 단백질 보조제나 의약품 등 섭취해야 하는 제품은 플라스틱을 먹는 것 같아 생각의 전환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