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前미군사령관 "주한·주일미군 통합한 美극동군 창설 논의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미동맹, 北위협 방어가 우선이지만 한반도만 집중 적절치 않아"

연합뉴스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한미전략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9.25 bluekey@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한미일 3자 군사 협력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 미군이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을 통합해 가칭 '극동사령부'를 만드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전직 주한미군사령관이 주장했다.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전략포럼에서 지금의 군 지휘체계가 지난달 캠프 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이뤄진 외교관계 개선과 보조를 맞추고 있는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일 협력 강화로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이 "거의 삼각형"으로 연결됐지만 군사적으로 한일 간 연결 고리는 유엔군사령부라며 "유엔사가 한일 간 간극을 메우기에 적절한 지휘 구조인가 아니면 (미군)극동사령부 같은 것을 다시 만들 시점인가"라고 자문했다.

그는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을 가칭 '주극동미군'(US Forces Far East)으로 통합해 인도태평양사령부 예하에 두거나 별도 사령부로 독립하는 방안을 논의할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한국과 일본을 관할하는 극동사령부(1947∼1957년)를 창설했다가 이후 태평양사령부로 통폐합한 바 있다.

브룩스 전 사령관은 "때로는 우리가 한미 군사관계를 형, 동생 관계로 생각하지만, 정확한 묘사가 아니다"라며 한국의 군사력과 방위산업 역량의 수준이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국이 한미일 3자뿐 아니라 호주 등과 다국적 훈련에 참여하는 등 활동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면서 "한미동맹이 한반도에만 집중하는 것은 이제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한미동맹이 한반도 밖을 생각하는 상황에서도 동맹의 첫 임무는 한국을 방어하는 것"이라며 당장 급한 북한의 위협을 방어하는 게 가장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이 새로운 군사 역량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예상한 것보다 더 크고 빠르게 성공했다"며 "북한의 문제 해결 능력을 과소평가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고 경고했다.

blueke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