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김행 ‘주식파킹’ 커지는 의혹에… 민주 “반성하지는 못할망정 가짜뉴스 운운·기가 막혀” 연일 맹비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민수 대변인 논평

“가짜뉴스는 김행 후보자가 만들어”

“경영에 복귀한 후 위키트리 직원의 임금 체불이 26건이 돼”

세계일보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26일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주식파킹' 의혹 해명에 대해 '후안무치'하고 '적반하장'이라고 비판했다.

한민수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주식파킹' 의혹에 대해 '성공한 기업인을 열흘 만에 범죄자로 만드냐?'며 오히려 큰 소리를 쳤다. 참으로 후안무치하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행 후보자가 공동창업한 소셜뉴스의 주식 평가액이 김 후보자가 편법을 동원해 다시 사들인 뒤 1877원에서 14만8226원으로 79배나 올랐다"며 "이것도 가짜뉴스인가. 시누이와 남편 지인에게 주식을 매각해 백지신탁을 무력화해놓고 무엇이 그리 당당한가"라고 지적했다.

한 대변인은 "김행 후보자가 복귀 후 위키트리에 대한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신청 건수가 5건에서 57건으로 폭증했다"며 "79배의 주가 급등은 김 후보자가 앞장선 가짜뉴스의 결과로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세계일보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하지는 못할망정 가짜뉴스 운운하며 오히려 화를 내는 김 후보자의 적반하장에 기가 막힌다"라고 비판했다.

한 대변인은 "가짜뉴스는 김행 후보자가 만들면서 누구에게 가짜뉴스 운운하나. 제발 양심을 갖기 바란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더욱이 김행 후보자가 경영에 복귀한 후 위키트리 직원의 임금 체불이 26건이나 된다"며 "본인은 회사 지원으로 해외연수 중에도 7500만 원의 연봉을 받았으면서, 정작 직원들 임금은 체불시킨 것 아닌가. 이런 사람에게 정부 부처를 맡길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한 대변인은 "청와대 대변인 시절 광고 수주 의혹, 주식파킹 의혹, 수준 이하의 성인지 감수성 등 의혹이 쏟아지는 김 후보자는 어떤 공직도 맡을 자격이 없다"며 "윤석열 대통령은 김행 후보자의 뻔뻔한 변명에 지친 국민께 사죄하고, 당장 지명을 철회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전날(25일) 민주당은 김 장관 후보자의 '주식파킹 의혹'에 "김 후보자의 뻔뻔함이 윤석열 대통령의 인사기준이었냐"고 비난한 바 있다.

세계일보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후보자의 주식파킹 의혹 논란이 혈연에서 지연으로 확산된 주식파킹 카르텔로 번지고 있다"고 밝혔다.

권 수석대변인은 "김 후보자는 사과와 사퇴는커녕 '폐업을 고민하다 주주 피해가 없도록 전량 매입한 것'이라고 궤변을 늘어놨다"며 "법인등기에 이름도 없고 직원들조차 금시초문인 사람을 공동창업자라고 둘러대다니 참 뻔뻔하다"고 꼬집었다.

또 "윤 대통령이 감싸줄테니 억지주장으로 얼렁뚱땅 넘어갈 것으로 생각하냐"며 "국민께서 언제까지 김 후보자의 말도 안 되는 뻔뻔한 변명과 억지를 들어줘야 하냐"고 따져 물었다.

권 수석대변인은 나아가 "가짜뉴스의 대가다운 파렴치한 변명"이라며 "김행 후보자가 복귀한 후, 위키트리에 대한 언론중재위의 조정 신청 건수가 이전 5건에서 57건으로 폭등했다. 허위 보도 때문"이라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허위 보도에 앞장섰던 사람을 가짜뉴스와 싸우겠다는 대통령이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하다니 황당무계하다"며 "지금껏 드러난 행적을 보면 김행 후보자는 청문회 대상이 아니라 수사 대상"이라고 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