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코로나19 백신 개발

노벨생리의학상에 코로나19 백신 개발한 커털린 커리코·드루 와이스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 공로
한국일보

코로나19 mRNA 백신을 개발해 노벨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한 커털린 커리코(오른쪽) 독일 바이오엔테크 수석 부사장과 드루 와이스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교수. 펜실베이니아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코로나19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에 기여한 커털린 커리코(68·여) 독일 바이오엔테크 수석 부사장과 드루 와이스먼(64)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2일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mRNA 백신 기술을 연구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공헌한 헝가리 태생 커털린 커리코 수석 부사장과 드루 와이스먼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mRNA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인류가 발 빠르게 백신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초를 닦았다. 실험실 연구에 머물러 있던 mRNA 백신은 코로나19 유행 시기에 최초로 상용화됐다.

DNA로부터 전사(transcription) 과정을 거쳐 생성된 mRNA가 세포질 속 리보솜에 유전정보를 전달하면 단백질이 생산된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필요한 유전정보로 코딩된 mRNA가 인체 세포 내로 들어가면 원하는 단백질이 만들어질 수 있다. 다만 mRNA가 매우 불안정한 물질인 데다 의도치 않게 강한 선천 면역반응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임상적 응용에는 제약이 있었다.

커털린 커리코와 드루 와이스먼 연구팀은 변형된 뉴클레오사이드(nucleoside)를 이용해 mRNA를 합성, 면역반응을 회피하고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을 처음으로 고안했다. 배성만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에는 이런 mRNA 변형 기술 응용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노벨상은 3일 물리학상, 4일 화학상, 5일 문학상, 6일 평화상, 9일 경제학상 순으로 수상자가 발표된다. 노벨상은 분야별로 1,100만 스웨덴 크로나(13억4,0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노벨상 시상식은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이 낀 '노벨 주간'에 스웨덴 스톡홀름(생리의학·물리·화학·문학·경제상)과 노르웨이 오슬로(평화상)에서 열린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