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일회용품 사용과 퇴출

‘회복력 도시’ 광주, 1회용품 확 줄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주시, 11월 1회용품 사용제한 계도 종료에 맞춰 시책 강화

1회용품 없는 청사 만들기 본격 추진…매장방문·대시민 홍보도



헤럴드경제

광주시, 11월 1회용품 사용제한 계도 종료에 맞춰 시책 강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오는 11월 ‘1회용품 사용제한 제도’ 확대 시행을 앞두고 ‘1회용품 줄여가게’, ‘용기내 행사’ ‘다회용기 재사용 촉진사업’ 등 다양한 시책을 강화한다.

지난해 11월 자원재활용법 개정에 따라 1회용품 사용제한 품목이 종이컵, 플라스틱 빨대⸱젓는 막대, 우산 비닐이 추가되며 21개 품목으로 확대됐다. 또 1회용 봉투·쇼핑백, 응원용품의 무상제공 금지에서 사용 금지로 준수사항이 강화됐다.

확대⸱강화된 제도는 1년간 계도기간을 운영 중이며, 계도기간이 끝나는 11월 24일자로 1회용품 사용 적발 때 과태료가 부과된다.

광주시는 계도기간 1회용품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자치구와 함께 대상업소 2600여곳에 대해 지도점검(8월말 기준)하고 외식업 등 관련협회에 협조공문 발송(2360건), 1회용품 모니터링단 2500여 매장 방문, 영산강유역환경청 등 유관기관과 함께 홍보캠페인(6회) 등을 펼쳤다.

광주시는 ‘1회용품 사용제한 제도’ 확대 시행을 앞두고 식품접객업, 종합소매업을 대상으로 ‘1회용품 줄여가게’ 신청을 받았다. 1회용품을 매장 내에서 보이지 않게 비치하고, 1회용품 사용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주문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자발적 참여에 초점을 맞췄다. 현재 180여 개소가 참여하고 있으며 희망매장은 자원순환실천 플랫폼을 통해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또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1회용컵, 배달용기를 줄이기 위해 다중이용시설, 공공배달앱과 연계한 ‘다회용기 재사용 촉진사업’을 하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5월 KIA 타이거즈와 친환경야구장 조성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일반티셔츠 8만5000벌을 만들 수 있는 분량의 투명페트병 1만5000㎏을 별도 배출했으며(1벌당 175g·8월 말 기준), 친환경 종이 응원봉을 제작·판매하고 있다. 시즌 종료까지 식음료 매장 할인을 계속해 관람객 인식을 바꿔나갈 계획이다.

공공배달앱(위메프오)과 ‘용기내 행사’도 펼치고 있다.

광주시는 다회용기 배달 및 포장가능매장 160여곳을 발굴, 위메프오에서 다회용기, 개인용기로 배달주문하거나 포장하는 시민에게 배달앱 점수(포인트)로 주문금액의 10%, 최대 3000원을 지급(예산 소진 때까지)한다.

광주시는 또 다회용컵 대여사업을 자치구(총 60여 개소)까지 확산해 13만여개의 다회용컵을 사용, 온실가스 배출량 6.6t(6630㎏ 1개당 51g) 감축 효과를 거뒀다. 지난 9월 문을 연 광산구 다회용기 지원센터에서는 접시와 그릇, 컵, 수저 등 9개 품목을 20여개 행사에 무상 대여(예정)했다.

광주시는 하반기에 ‘1회용품 없는 청사 만들기’ 캠페인을 본격 추진한다. 시청 직원대상 1회용 장례용품 배부를 중단하고 착한 소비를 실천하는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를 자치구와 공공기관까지 확대한다. 또 자치구·1회용품 모니터링단 등과 함께 확대 강화된 1회용품 사용규제 집중 홍보 및 현장 계도활동도 펼친다.

내년에는 탄소중립실천포인트 등을 연계한 개인용기 사용자 인센티브 지급, 배달앱 연계 다회용기 서비스 운영 등 다회용기 활성화 체계 구축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밖에 자원순환협의체, 자치구와 함께 마을 공동체 거점공간 안에 분리배출을 돕는 자원순환가게를 운영하고, 찾아가는 자원순환교육 등을 통해 시민 대상 1회용품 감량 및 재활용 교육을 실시한다.

이정신 자원순환과장은 “광주시의 하루 폐합성수지류 발생량은 141t(2020년 기준)에 달한다”며 “기후위기 극복과 우리 모두를 위해 1회용품 줄이기에 시민의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sij@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