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정치계 막말과 단식

“정말 X랄하고 X빠졌죠” 안철수, 민주당 비판에 “유머와 막말도 구분 못하는 정당”

댓글 17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더불어민주당의 ‘유권자 모독’ 비판에 “문맥 없이 진실 왜곡하면 안 돼”

세계일보

김태우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국민의힘 후보 선대위 상임고문인 안철수 의원이 지난 9일 김 후보 지원 유세를 하고 있다. 안철수 의원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태우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국민의힘 후보 지원 유세 도중 자신을 겨냥한 ‘X랄하고 X빠졌네’라던 행인의 욕설에 “정말 X랄하고 X빠졌죠”라고 유쾌하게 반응했던 안철수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의 ‘유권자 모독’이라는 비판에 10일 “유머와 막말도 구분 못한다”고 쏘아붙였다.

안 의원 측은 이날 언론에 배포한 입장문에서 “막말의 대명사 더불어막말당이 유머와 막말도 구분 못하는 걸 보니 역시 원조 막말 정당답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안 의원은 지난 9일 김 후보 지원 유세에서 “경찰청 차장 시절인 2022년 1분기 통계만 보더라도 1년 전보다 강력범죄가 우리나라에서 70% 늘었다”며 진교훈 민주당 후보를 비판하던 중, 자신에게 날아온 “X랄하고 X빠졌다 XX”라는 주민 말에 “정말로 X랄하고 X빠졌죠”라고 맞장구 아닌 맞장구를 쳤다.

이 같은 영상이 유튜브에서 확산하자, 민주당은 똑같은 표현으로 대응한 안 의원의 발언이 유권자 모독이라고 맹비난을 쏟아 부었다.

강선우 민주당 대변인은 10일 서면브리핑에서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을 지내고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로 나섰던 집권여당의 지도자가 신성한 선거에서 상대당 후보에게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설을 하다니 기가 막히다”며 “낯이 뜨거워 연설장면을 보기 부끄러울 정도”라고 몰아붙였다.

강 대변인은 “정부여당에 대한 심판론이 나날이 커지니 이성을 잃은 것이냐”며 “새 정치를 외치며 정치에 뛰어들었던 사람이 왜 이렇게 변했나,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뒤편으로 밀려날까봐 두렵나”라고 물었다. 그리고는 “이것은 유권자에 대한 모독이다, 강서구민을 얼마나 우습게 알면 그 앞에서 욕설을 하느냐”면서 “한글날 강서를 찾아 욕설을 뱉은 안철수 의원은 낯부끄러운 욕설에 대해서 당장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안 의원 측은 “지나가던 시민 한 분께서 안 의원을 향해 욕설을 했고, 안 의원은 과열된 현장에서 나온 발언으로 여겨 김 후보자 지원 유세에 유머로 답한 것”이라며 “국민의힘 유세를 보고 우리 당에 비판적인 시민이 던진 욕설을 유머로 승화시킨 안 의원 발언에 앞뒤 문맥 없이 오직 비방의 목적을 갖고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 진실을 왜곡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계속해서 “민주당 진교훈 후보가 경찰청 차장을 하던 2022년 1분기의 강력범죄는 그 전해에 비해 68.8% 증가했고 그 중 성폭력범죄는 74.7% 증가한 점을 강조한다”며 “그 이상의 의도는 없었다”고 거듭 부연했다.

안 의원은 지난 5일에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진 후보의 경찰청 차장 시절 전국 범죄 통계를 들어 ‘업무능력이 빵점인 후보에게 강서구를 맡겨도 되겠느냐’고 비판했었다.

안 의원은 당시 글에서 “민주당 후보가 경찰청 차장을 하던 2022년 1분기의 강력범죄는 그 전해에 비해 68.8% 증가했고 그 중 성폭력범죄는 74.7% 증가했다”며 ‘경찰 출신’을 부각하는 진 후보의 업무능력에 의문을 표했다. 이어 “친족범죄는 2017년 3만5000건에서 2021년 5만건으로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분기별 범죄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강력범죄 발생건수는 총 9750건으로 2021년 1분기의 5775건보다 3975건 증가했다. 이 기간 130건에서 126건으로 감소한 강도범죄를 제외하면, 살인범죄는 161건에서 186건으로 25건 늘었고, 방화범죄는 257건에서 304건으로 47건 특히 성폭력범죄는 5227건에서 9134건으로 3907건이나 증가했다.

진 후보가 2017년말부터 2019년까지 서울경찰청 정보관리부장을 지내고 이후 서울 양천경찰서장과 전북경찰청 그리고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장을 거쳐 경찰청 차장에 이르는 동안의 전국 강력범죄 증가율을 안 의원이 끄집어낸 것으로 해석됐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