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이·팔 전쟁 가짜뉴스 온상된 'X'···EU, 머스크에 경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서비스법 지켜라" 서한

연매출 6% 과징금 부과 압박

X "전쟁 게시물만 5000만개"

유럽연합(EU)이 X(엑스·옛 트위터) 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관련 가짜 뉴스 확산에 대해 일론 머스크(사진)에게 경고 서한을 보냈다. 가짜 뉴스 삭제를 의무 사항으로 부과한 EU의 ‘디지털서비스법(DSA)’에 따라 조치를 취하라는 경고다. DSA를 어길 시에는 글로벌 연매출의 최대 6%에 달하는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어 X의 유럽 내 서비스가 중단될 수도 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일(현지 시간) 로이터와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티에리 브르통 EU 내부시장 담당 집행위원은 머스크에게 서한을 보내 “하마스가 X를 불법 콘텐츠와 허위 정보를 유포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는 징후가 있다”며 “24시간 내에 유로폴과 관련 집행기관에 연락해 대응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브르통 위원은 허위 정보 유포의 ‘징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에 머스크는 X에서 브르통 위원과 설전을 벌였다. 머스크는 “위반 사항을 대중이 볼 수 있도록 X에 나열해달라”고 답했고 브르통 위원은 “머스크 당신도 가짜 콘텐츠와 폭력 미화에 대해 잘 알고 있지 않느냐”고 했다.

DSA는 인종과 성·종교에 편파적이거나 테러·아동학대 등이 담긴 콘텐츠 유포를 막기 위해 8월부터 도입됐다. DSA 적용 대상 서비스는 문제가 되는 콘텐츠를 신속히 삭제해야 한다. 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이후 X에서는 가짜 뉴스들이 대거 확산되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병원에 이송됐다거나 시리아 분쟁을 가자지구로 속이는 영상 등이 대표적이다. X는 공식 계정을 통해 “최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에 관한 게시물이 5000만 개 이상 올라왔다”며 “최고 수준의 대응을 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모든 게시물을 찾아내 삭제하기는 역부족이다.

머스크는 DSA에 부정적인 태도를 취해왔다. 6월에는 EU와 체결한 ‘허위 정보에 관한 규약’에서 탈퇴했다. 가짜 뉴스를 활용한 수익 활동을 막고 사실 확인에 적극 협력한다는 내용이다. X 인수 직후에는 가짜 뉴스, 허위 정보 담당 직원을 대거 해고하기도 했다.

윤민혁 기자 beherenow@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