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검찰과 법무부

검찰, 野보좌관·기자·국회정책연구원 압색… '조작 인터뷰' 보도 의혹 수사(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대선을 앞두고 이뤄진 대장동 사건 관련 허위 보도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11일 추가 허위 보도 정황을 포착하고 강제 수사에 나섰다. 대선을 사흘 앞두고 뉴스타파를 통해 보도된 '김만배·신학림 인터뷰', 이보다 2주 앞서 JTBC에서 보도된 이른바 '윤석열 커피' 기사에 이어 또 다른 보도의 경위 추적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서울중앙지검 '대선개입 여론조작 사건' 특별수사팀(팀장 강백신 반부패수사1부장)은 이날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보좌관 최모씨의 국회 사무실과 주거지 등 4곳을 압수수색했다. 언론사 리포액트 사무실과 이를 운영하는 허재현 기자의 주거지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오후에는 더불어민주당 국회정책연구원 김모씨의 사무실 등도 압수수색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서울중앙지검 앞 검찰 깃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검찰은 윤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정보통신망법 위반)로 최씨와 허씨 등을 입건했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최씨와 허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허위 인터뷰 의혹 수사가 본격화된 이후 현직 보좌관이 입건된 것은 최씨가 처음이다. 최씨는 김 의원이 대선 때 '윤석열 은폐수사 및 50억클럽 진상규명 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할 당시 실무팀장을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민주당 대선후보였던 이재명 대표의 최측근 그룹인 '7인회' 멤버다.

검찰은 최씨와 허씨가 공모해 대선을 앞둔 지난해 3월1일 "윤석열 대통령이 대검찰청 중수2과장 시절 부산저축은행 사건을 수사할 당시 '대장동 브로커' 조우형 씨를 의도적으로 봐줬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취지의 허위 보도를 한 것으로 보고 수사하고 있다.

당시 허씨는 최재경 전 대검 중수부장과 조씨의 사촌형인 이모씨와의 대화가 담긴 녹취록을 확보했다며 그 내용을 보도했다. 허씨는 기사에서 "이씨가 '김양 부회장이 구속되기 전 조우형이 김 회장의 심부름꾼이었거든요. 솔직히'라고 말하자 최 전 중수부장이 '윤석열이 그런 말 했다'고 맞장구쳤다. 이어 이씨가 놀란 듯 '윤석열이 그런 말 했냐? 조우형이 박영수 변호사를 쓴 건 신의 한수였다'고 답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적었다.

최 전 중수부장이 당시 주임검사였던 윤 대통령을 지휘하는 관계였던 만큼 윤 대통령으로부터 보고받은 수사 내용을 한참 뒤에 부산저축은행 관계자에게 전달해준 것으로 보인다는 게 의혹의 주된 내용이었다. 하지만 기사에는 해당 대화가 이뤄진 시점이나 장소에 대한 정보는 포함돼 있지 않았다.

허씨는 관련 수사가 본격화된 직후인 9월7일 사회관계망서비스 페이스북 계정에서 이 기사를 다시 소개하며 "김만배·신학림 인터뷰가 거짓이면 최재경이 한 이 말은 뭐냐. 이 녹취록은 제가 직접 입수해서 갖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검찰은 보도된 최 전 중수부장과 이씨의 대화가 사실과 다르다고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최씨와 허씨가 해당 내용이 허위임을 알고서도 유력 대선 후보였던 윤 대통령을 비방할 목적으로 대선을 불과 8일 앞두고 이 같은 보도에 나선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에 대해 허 기자는 "추가 보도를 막으려는 정치적 음모의 수사"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허 기자는 압수수색 현장에서 취재진에게 "최씨를 알지도 못 한다. 녹취록에 나온 인물이 최재경이니까 보도가 가능했던 것"이라며 "최재경에게 반론 요청을 했는데 아무 답변이 없어 보도를 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왜곡된 보도, 조작 보도를 했다면 당연히 기자로서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그는 '녹취록의 인물이 최재경 전 중수부장인 점을 어떻게 검증했냐'는 질문에 "제가 쌓아온 굉장히 신뢰할 만한 여러 가지 방식에 맞춰 검증 과정을 거쳤다"며 "그것만으로 부족해 반론 요청을 했다. 반론이 오면 추가 취재하거나 오보를 정정하는 절차를 밟았겠지만 답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