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EU, 머스크 이어 저커버그에도 경고··· "가짜뉴스 대응하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관련 가짜 뉴스 확산에 대해 일론 머스크에게 경고 서한을 보낸 유럽연합(EU)이 메타(옛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그에게도 경고장을 날렸다. 가짜뉴스 삭제를 의무화한 EU의 디지털서비스법(DSA)은 위반 시 글로벌 연매출 최대 6%의 과징금을 부과토록 해, X(엑스·옛 트위터)는 물론 페이스북의 유럽 내 서비스 중단 가능성까지 점쳐진다.

서울경제



11일(현지 시간) 로이터 등에 따르면 티에리 브르통 EU 내부시장 담당 집행위원은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24시간 내 불법 콘텐츠와 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한 조처를 회신하라고 요구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 메타가 운영하는 소셜미디어(SNS)를 하마스발 가짜뉴스 근원으로 지목한 것이다.

브르통 위원은 전날 X를 인수한 머스크에도 유사한 내용의 경고장을 보낸 바 있다. 브르통 위원은 “하마스가 X를 불법 콘텐츠와 허위 정보를 유포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는 징후가 있다”고 경고했고, 머스크는 “위반 사항을 대중이 볼 수 있도록 X에 나열해달라”며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브르통 위원의 경고 기반은 지난 8월부터 EU에서 시행된 DSA다. DSA 적용 대상 서비스는 문제가 되는 콘텐츠를 신속히 삭제해야 한다. 이를 어길 시에는 글로벌 연 매출 최대 6%에 달하는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사실상 EU 내 서비스를 포기하라는 말과 같다는 평가다.

지난 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이후 SNS에서는 가짜뉴스와 폭력적인 콘텐츠가 횡횡하고 있다. X는 공식 계정을 통해 “최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에 관한 게시물이 5000만 개 이상 올라왔다”고 밝히기도 했다. 플랫폼 운영사들도 가짜뉴스 삭제를 위해 노력 중이지만 모든 게시물을 찾아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윤민혁 기자 beherenow@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