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선태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장(외쪽)이 13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하고 있다.[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광주)=황성철 기자] 송선태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장은 오늘(13일) 광주 5·18 당시 진압 작전 및 발포 책임 소재와 관련해 “전두환 씨의 핵심 측근들의, 전두환의 주도성, 중심성에 대한 증언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진상조사위의 조사 결과에 대해 “광주에서 26개소·54회 발포가 있었고, 그 발포와 진압 작전에 있어서 전두환 씨의 주도성·중심성이 무엇으로 입증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에 착안해 조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광주에 진압군으로 투입됐던 군부대가 전부 하나회 출신인데, 그 하나회 출신들과의 별도의 지휘·지시·보고체계를 확보하고 있었다고 하는 증언을 확보했다”며 “따라서 당시 육군 예규나 사단 예규, 작전 예규서 명시하고 있는 자위권 발동 및 ‘진돗개’ 발동 요건을 전적으로 무시하고 광주에서의 진압 작전이 진행됐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등 여타의 증거는 많이 있다”고 강조했다.
송 위원장은 ‘발포 책임자를 전두환 씨로 특정해도 무리가 없겠느냐’는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의 질문에 “최종적으로 증언을, 또 증거를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면서 “아마도 암매장 문제와 발포 책임 문제 관련 보고서가 가장 늦게 종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조사위는 연말까지 추가 조사를 거쳐 내년 6월 공식 보고서를 발간하고 위원회 활동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