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최악의 위기 맞은 자영업

털어내도 상승하는 5대銀 중기·자영업자 연체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금리 상황이 길어지면서 빚 부담과 불경기를 못버티고 폐업하는 중소기업·자영업자가 급격하게 늘고 있다. 은행들이 지난해 2배 이상의 부실채권을 털면서 건전성을 관리하고 있음에도 연체율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중소기업(개인사업자 포함) 연체율은 지난 9월말 0.3~0.5%로 집계됐다. 지난 6월말(0.26~0.51%)에 견줘 농협은행(0.01%p 감소)을 제외하고 은행별로 0.02~0.04%p 뛰면서 하반기에도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8월말(0.35~0.55%)에 비해서는 은행별로 0.05~0.1%p 줄었는데, 이는 은행들이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을 매각·상각하며 건전성 관리에 힘쓰고 있기 때문이다. 5대 은행은 올해 3분기(7~9월)에만 전년 동기(5501억원)보다 약 2배 가까이 늘어난 1조73억원 어치의 부실채권을 매·상각했다. 올해 들어 지난 9월말까지는 총 3조2201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상각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1조5406억원)은 물론 지난해 연간 총액(2조2711억원)보다도 많은 수치다.

은행권 중소기업 연체율이 하반기에도 오르는 이유는 고금리 기조와 경기불황이 이어지자 버티지 못하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가 늘고 있어서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은행이 직전 3개월(6~8월) 공급한 중소기업 신용한도대출 평균금리는 연 6.20~6.88%다. 올해 3~5월에 견줘 △신한은행 0.26%p △NH농협은행 0.09%p △KB국민은행 0.08%p △우리은행 0.07%p 올랐으며, △하나은행만 0.03%p 내렸다.

대법원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법원에 접수된 법인 파산신청은 1034건으로 지난해 전체 파산신청 건수(1004건)를 넘어섰다. 올해 8월까지 소기업과 자영업자를 위한 공적 공제 제도인 '노란우산'의 폐업 공제금 지급 액수도 8948억원으로 전년 동기(6381억원) 대비 40.2% 늘었다. 노란우산공제는 자영업자가 매달 일정 금액을 납부하다가 폐업 등으로 사업을 접을 때 돌려받는 제도다. 공제금 지급이 늘어난 것은 그만큼 폐업 등 한계상황에 내몰린 자영업자가 많다는 뜻이다.

한계상황을 다시 빚을 내 버티는 경우도 잦다. 5대 은행의 지난달말 중소기업(개인사업자 포함) 대출잔액은 623조3403억원으로 전월(618조849억원) 대비 5조2554억원 늘었다. 8월에 이어 두 달째 증가폭이 5조원을 넘어서면서 증가폭을 키우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의 여력이 부족한데도 자금수요만 따라 대출을 내주면 향후 은행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도엽 기자 uson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