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연구원, 아이폰12 4개 모델 정말 검증…"기준치 이하"
인체보호 기준 차이로 EU판매 제품서 단말기 출력 더 높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20일 국내 유통 중인 아이폰12 4개 모델에 대해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 적합 여부를 측정한 결과 모두 기준을 충족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검증은 지난달 프랑스 전파관리청(ANFR)에서 아이폰 12가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을 초과한다고 발표함에 따라 국내 이용자들의 전자파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진행됐다.
프랑스 전파관리청은 당시 “프랑스 시장에 유통되는 휴대전화 141대에 대해 전자파 인체 흡수율(SAR)을 측정한 결과 아이폰12가 손발 부문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전자파가 측정됐다고 밝혔다.
이에 국립전파연구원은 프랑스 정부의 발표 후 즉시 애플에 관련 상황에 대해 보고할 것을 요청하고 아이폰12 4개 모델의 기술기준 충족 여부를 정밀히 검증할 계획임을 밝혔다.
바디 디텍트 기능은 신체 접촉 유무를 판단해 신체 접촉 상황에서는 출력을 낮추고 신체 접촉이 없다고 판단되면 출력을 높이는 기술이다. 즉, 손에 들고 있는 경우 출력을 낮추고 테이블 위에 놓인 경우 출력을 높인다는 것이다.
측정 결과는 △머리(0.93~1.17W/㎏) △몸통(0.97~1.44W/㎏) △손발(1.75~2.63W/㎏) 모두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전파연구원은 프랑스에서 아이폰12 전자파가 기준보다 높게 측정된 것은 전자파 검증 시 바디 디텍트 기능이 동작하지 않았고, 머리와 몸통의 경우 국내 기준이 더 엄격한 인체보호기준 차이로 유럽에서는 단말기의 출력이 국내보다 높은 점 등이 원인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립전파연구원은 국내에 유통되는 휴대폰에 대해 출시 전 적합성 평가를 통해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 충족 여부를 엄격하게 검증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국민들의 전자파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휴대폰을 포함한 주요 방송통신기자재에 대한 전자파 안전성 관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