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2023 국감]與 "가짜뉴스 전모 밝혀야"vs 野 "검찰, 이재명 특검팀이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與, ‘가짜뉴스’ 고강도 수사 필요… "선거 결과 달라질 수 있는 사안"

김의겸 의원 "이정섭 차장검사, 대기업 부회장과 고급 리조트서 식사"

이원석 검찰총장 "이 차장검사, 진위 확인 안 돼… 사적 분쟁서 나온 입장"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여야의 질의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수사에 집중됐다.

아시아경제

이원석 검찰총장이 23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3일 대검찰청에서 열린 국감에서 야당은 이 대표에 대한 수사에 검찰이 대규모 수사팀을 꾸리고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김영배 민주당 의원은 "이 대표에 대해 지금까지 투입된 서울중앙지검, 수원지검 검사가 언론에 50명이라고 보도됐는데, 검찰이 이재명 특검팀이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며 "(이 대표에 대한) 체포영장이 국회로 두 번 왔고 두 번째는 가결이 돼서 법원으로 갔는데 기각이 됐다. 국민적으로 굉장한 논란과 비판을 부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이원석 검찰총장은 "검사의 사건배당이 단 한 건만 되는 경우는 없고, 한 검사가 수십건 많게는 수백건의 사건을 가지고 있다"며 "실제로 계속해서 50명이 근무한 것도 아니고, 그 정도 규모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반면 여당은 현재 검찰에서 진행 중인 ‘뉴스타파 허위 인터뷰’ 사건 등 가짜뉴스 의혹에 대해 강도 높은 수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뉴스타파는 지난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장동 개발 관련 당시 뉴스타파 전문위원이었던 신학림 전 언론노조위원장과 대장동 민간 개발업자 김만배씨가 ‘윤석열 대통령이 대검 중수부에 있을 당시 박영수 전 특별검사를 통해 부산저축은행 사건에 연루된 대장동 개발업자인 조우형씨 사건을 덮어줬다’는 취지의 인터뷰를 보도했다.

전주혜 국민의힘 의원은 "윤석열 당시 대선 후보 관련 가짜뉴스는 철두철미하게 해야 한다"며 "대선 공작으로 인해 국민들의 표심이 왜곡될 수 있는, 결과까지 달라질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다. 가짜뉴스가 보도됐는데도 문재인 정부 검찰은 아무런 제지나 언급이 없었다. 이재명 후보는 대선 전날 이 같은 내용을 문자로 475만명에게 발송했다. 전모가 밝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야당은 이정섭 수원지검 2차장검사의 비위 의혹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했다. 민주당은 이 차장에게 ▲위장전입 ▲주변인 전과 무단 조회 ▲처가에 변호사 소개 ▲세금 체납 의혹 등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의겸 민주당 의원은 2020년 12월 24일 이 차장검사가 재계 서열 10위 이내에 해당하는 기업의 부회장 초대로 강원도에 있는 고급 리조트에 방문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이 차장검사가 이 기업에 대해 2015년부터 매년 수사를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또 김 의원은 당시 이 차장검사가 리조트에 초대받았을 때는 코로나19로 인한 집합금지 명령으로 스키장이 폐쇄돼 있었는데, 이 차장검사의 가족만 특별히 스키장을 이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 검찰총장은 "검사도 사람이고 또 검찰도 사람이 사는 곳이어서 실수도 있고 문제도 있을 수 있다고 본다"며 "국감장이 이 차장검사라고 하는 얼마 전까지 부장검사였던 사람에 대해 인사청문회를 하는 게 아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차장검사의) 인척의 소송 분쟁 갈등 과정에서 나온 자료 같은데, 저희에게 주면 살펴보겠다"면서도 "본인이 항변을 못 하는데 이렇게 공개하면 진위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 사적 분쟁에서 나온 당사자의 입장이다. 객관성, 공정성 가지고 수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허경준 기자 kj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