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네이버, 사우디서 디지털트윈 사업 따냈다…1억달러 규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우디 자치행정주택부 디지털트윈 프로젝트 사업 수주…5년간 5개 도시 대상

-도시 계획·모니터링·홍수 예측 등 활용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나연 기자] 네이버가 향후 5년간 사우디아라비아 5개 도시를 디지털트윈 플랫폼으로 구축하는 사업을 수주했다.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계약 규모는 1억달러(한화 약 1350억원)으로 알려졌다. 이는 네이버 창사 이래 첫 대규모 중동 사업이자, 사우디 국민 생활과 밀접한 디지털 서비스 기반 인프라를 한국 정보기술(IT) 기업 자체 기술로 구축하는 첫 사례다.

네이버는 사우디 자치행정주택부로부터 국가 차원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을 맡아, 수도 리야드 등 5개 도시를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디지털트윈이란 가상모형에 실제 기상 현상이나 사물을 쌍둥이처럼 구현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예측·최적화 등의 모의실험(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네이버는 5년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를 비롯해 메디나, 제다, 담맘, 메카 5개 도시들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 3차원(3D) 디지털 모델링 디지털트윈 플랫폼을 구축 및 운영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를 ▲도시 계획 ▲모니터링 ▲홍수 예측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본 프로젝트를 위해 네이버는 사우디-한국 정부와 지속적인 협업 기회 발굴 및 채널 역할을, 네이버랩스는 첨단 기술 고도화를, 네이버클라우드는 안정적인 클라우드 기술과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등 모든 역량을 결집하겠다는 방침이다

10센티미터(cm) 내외 오차 범위로 도시 전체를 정밀하게 구현·복제할 수 있는 원천 기술부터 매핑 로봇, 데이터 처리 인프라까지 자체 개발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와 함께 네이버는 매우 높은 확장성을 갖춘 대규모 실내 공간 매핑 기술과 10년간 ‘3無(무중단·무사고·무재해)’ 노하우까지 갖춘 안정적인 클라우드 역량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사우디 현지 법인 설립 및 중동 지역 클라우드 리전 구축도 추진할 계획이다. 네이버 초대규모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를 활용해 사우디 자치행정주택부 정책 현안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진행 중인 논의 역시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네이버와 각각 MOU를 체결한 한국국토정보공사(LX), 한국수자원공사도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에 힘을 보태며, 추후 협업 대상도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기술 기반 글로벌 진출도 더 가속하겠다는 목표다. 이번 중동 지역으로의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시티 기술 수출이 추후 ‘하이퍼클로바X’과 ‘소버린AI’, ‘소버린클라우드’ 등으로 확대되면 네이버클라우드 사업 역시 빠르게 성장할 것이란 기대에서다.

채선주 네이버 대외/ESG정책 대표는 “건설 플랜트 수출로 경제대국 대한민국 초석을 다진 선배들의 노고와 땀의 가치를 깊이 새기고 있다”면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탄탄한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2 중동 수출 붐을 이끌어 보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