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럼피스킨병 확산

경북도, 럼피스킨병 긴급 백신 접종 시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 사육 농가에 대한 긴급 백신 접종으로 도내 청정화 유지

럼피스킨병 전국 확산에 따른 경북도 차단 방역 비상

아주경제

소 럼피스킨병 예방 백신 접종 요령 및 주의 사항 [사진=경상북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는 전국에 걸쳐 발생하고 있는 소 럼피스킨병 발생을 막기 위해 도내 전체 소 사육 농가에 대해 긴급 예방 접종을 실시한다고 31일 밝혔다.

소 럼피스킨병은 지난 19일 충남 서산 한우 농장에서 국내 처음 발생한 이후 경기, 강원, 충북, 전남, 전북, 경남 등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경북도는 농식품부에서 배정한 긴급 백신 83만여 두 분을 11월 1일 1시~6시 사이에 3회에 걸쳐 22개 시군에 공급한다.

백신을 인수한 시군에서는 읍면을 통해 농가로 전달해 접종을 시작하며, 사육 규모에 따라 50두 이상 농가는 자가 접종을 하고 50두 미만 농가는 공수의사, 공무원, 축협 직원으로 구성된 백신접종단의 지원을 받아 접종하게 된다.

농가에서는 백신 인수 즉시 서둘러 백신 접종을 완료해 줄 것과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른 피하 접종 및 접종 용량 준수를 당부했다.

또한 백신 접종 후 항체 형성 기간(약 3주) 등을 고려할 때 럼피스킨병의 안정화는 11월 말경으로 전망했다.

지난 19일 충남 서산 첫 발생 이후, 현재까지 경북 도내 럼피스킨병 발생은 없으며 방역대책상황실 운영, 14개 가축시장 폐쇄, 거점 소독시설(25개 소) 및 공동방제단 운영 강화, 보건 부서 협조를 통한 흡혈 곤충 방제, 특별교부세 9억7000만원 확보 및 시군 배부, 가축방역심의회 개최에 따른 발생 시·도 소(생축) 반입 금지 등 방역 조치를 통해 청정화를 유지하고 있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백신 접종 후 항체 형성 기간인 3주 경과까지는 안심할 수 없는 상황으로 소 사육 농가에서는 지속적인 소독과 침파리 등 흡혈 곤충 방제를 철저히 해주시고 고열, 식욕 부진, 전신에 혹(결절) 등 의심 증상이 있으면 즉시 해당 시군 또는 동물위생시험소에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아주경제=안동=최주호 기자 cjh@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