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이슈 총선 이모저모

인요한이 던진 "친윤 총선 불출마" 폭탄…"정치적 선언" 관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기현 "정식기구 통해 종합적 검토"

무리한 험지 출마 요구

공천 실패 되풀이 우려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3일 당 지도부와 중진,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의 불출마 선언 및 험지 출마 등이 담긴 2호 혁신안을 발표하면서 여권에 파란을 일으키고 있다. 당내에서는 혁신위가 제시한 방향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공감하면서도 전략 없는 험지 출마 요구는 21대 총선 당시 국민의힘 전신인 자유한국당 시절에 있었던 공천 실패의 결과로 되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발표된 혁신안에 대해 "정식적인 논의 기구를 통해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인요한 혁신위에 전권을 약속했지만, 이번 파격적인 혁신안에 대해선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혁신위는 이날 회의를 열고 두 번째 안건으로 불출마, 험지 출마를 내걸었으며 국회의원 정수 10% 축소, 불체포특권 포기, 세비 박탈, 하위 비율 20% 현역 컷오프 등에 대해 제안했다.
아시아경제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3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제3차 전체회의에서 고민하는 듯한 표정을 짓고 있다. 2023.11.3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 지도부와 중진들도 일단 관망하는 분위기다. 한 중진의원은 "정치적으로 선언적인 의미에 그치는 것 아닌가 생각을 한다"면서도 "어느 정도 받아들일지는 지도부가 최종적으로 고민을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 영남권 의원은 "의원 개인기로 버텨 온 지역도 있는데, 중진들을 무조건 수도권으로 출마하라고 하는 것은 무리가 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중진 험지 출마 요구를 포함해 하위 현역의원 20% 컷오프 등 혁신안은 과거 당 혁신을 거론할 때마다 언급됐던 내용이다. 앞서 황교안 전 자유한국당 대표는 21대 총선 공천 당시 '물갈이'를 내세워 당 중진들을 험지에 출마시켰다. 그러나 지역구를 바꾼 의원이 줄줄이 낙선하면서 총선에서 크게 패배했다. 오히려 공천에 반발하며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홍준표(대구 수성 을)·윤상현(인천 동구·미추홀구 을)·권성동(강원 강릉시)·김태호(경남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등이 선거에서 이긴 뒤 복당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중진 험지 출마가 성공한 사례는 거의 없다"면서 "이전에 다 나왔던 이야기를 혁신위가 다시 꺼낸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날 혁신위 회의에선 보좌관 숫자 축소와 연봉 감축 등이 거론된 것으로 전해지지만,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의 반발로 혁신안에는 담기지 않았다. 보좌진협의회는 전날 성명서를 내고 "혁신위에 국회 보좌진은 그저 혁신의 제물로 바쳐질 희생양"이냐며 반발했다. 또 친윤계 의원의 범위도 모호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당 지도부는 혁신위에 전권을 부여한다고 공언한 만큼 불출마 및 험지 출마 등을 추후 발족할 공천관리위원회와 총선관리기획단이 꾸려지면 이를 통해 해당 안건을 제도화 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동일 지역에서 3선 이상으로 출마할 경우 패널티를 준다거나 정치 신인에 가산점 등을 대거 부여하는 방식이 논의될 수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 관계자는 "최고위 의결 사안은 아니지만, 혁신안에 대한 존중 의사는 분명히 밝힐 것"이라면서 "중진 불출마 등 혁신안이 실제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중진 의원들의 선언이 뒤따르면 가장 좋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강제하기 위해 공천 룰을 만들 때 (내용을) 집어 넣는 식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