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빈대 공포 확산

“모기 물린 것보다 훨씬 가려워” 곳곳에 빈대 공포… 고시원은 점검도 어려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증상 심할 경우 피부 감염, 고열, 빈혈 등

세계일보

대구 계명대학교 신축 기숙사에서 발견된 빈대.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빈대 청정국’이었던 우리나라 곳곳에서 ‘빈대’가 출몰하면서 공포감이 고조되고 있다. 빈대에 물릴 경우 모기에 물린 것보다 몇배는 더 가렵고, 심할 경우 피부 감염증·고열 등에 시달릴 수도 있다.

지난 6일 인천 서구에 따르면, 최근 인천의 한 사우나에서 빈대가 출몰해 방역 조치가 이뤄졌지만 같은 건물에 있는 고시원은 점검 대상에서 빠졌다.

하지만 온라인상에선 해당 고시원에도 빈대가 출몰했다는 주장이 잇달아 나오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빈대 출몰 이후 기사가 난 해당 사우나에서는 4일간 소독 작업이 진행됐으며, 서구는 업체 측에 경고 조치와 함께 과태료 90만원 처분을 했다. 업체 측은 지난달 24일 목욕장 영업만 재개했고, 빈대가 발견된 찜질방 시설은 잠정 폐쇄하기로 했다.

그러나 같은 건물에 있는 고시원은 사실상 관할 구청의 관리로부터 벗어난 상황이다. 서구는 공중위생관리법상 관리 대상인 목욕탕·사우나와 달리 자유업종으로 분류되는 고시원의 경우 구청에 명확한 관리 권한이 없다고 설명했다.

전날 서울시 각 지자체와 지자체 보건소에 따르면 서울 25개 자치구 중 7곳에서 17건의 빈대 발견 신고가 접수됐다.

지난 2일 서울 중구 남대문 쪽방촌 일대의 한 고시원에서 빈대가 발견됐다는 신고가 들어왔고 보건소의 점검 중 침대 매트리스와 침구, 벽지 등에서 실제로 빈대가 발견됐다. 빈대가 출몰한 방과 가까운 방 3곳에서도 빈대가 발견돼 방제 작업이 이뤄졌다.

앞서 지난 9월에는 대구의 한 기숙사에서도 빈대가 발견돼 충격을 안겼다.

국내에서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던 한국 토종 빈대가 살충제에 저항성을 갖게 되면서 갑작스레 개체 수가 늘었다는 의견도 있지만, 방역업체 전문가는 현재 퍼지고 있는 빈대는 토종 빈대가 아니라 열대 빈대인 ‘반날개 빈대’라고 주장했다.

한국은 1960, 1970년대 빈대를 박멸하기 위해 DDT 살충제를 살포하는 등 대대적인 작업을 벌인 끝에 빈대가 거의 자취를 감추 ‘빈대 청정국’으로 불렸었다.

‘반날개 빈대’는 주로 열대 지방에 서식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종료 이후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해외여행을 다녀오는 내국인이 급증하면서 유입이 확산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 분석이다. 질병관리청은 전날부터 공항 출국장, 해외 감염병 신고센터에서 프랑스 영국 등 빈대 발생 국가 출입국자와 해당 국가에서 화물을 수입하는 수입기업을 대상으로 해충 예방수칙을 안내하고 있다.

빈대는 전염병을 퍼뜨리지는 않지만, 주로 야간에 따뜻한 곳을 찾아다니며 피를 빨아먹는다. 빈대에 물리면 모기에 물린 것보다 훨씬 심한 가려움을 유발한다. 증상이 심할 경우 피부 감염증과 고열, 빈혈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데다 박멸도 쉽지 않다.

빈대가 발견됐다면 스팀(고열)이나 진공 청소를 하고 빈대 서식처를 확인한 뒤 살충제 처리를 해야 한다. 오염된 직물을 50~60℃ 건조기에 약 30분 이상 돌려야 빈대를 박멸할 수 있다.

현화영 기자 hhy@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