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일회용품 사용과 퇴출

일회용품 규제 유예에 환호하는 카페 사장님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종이컵·플라스틱 빨대 계속 사용


"종이 빨대는 금방 녹고 맛이 이상했어요"(카페 손님)

"일단 기한이 연장됐으니까 우리 입장에선 고맙죠."(카페 주인)

8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역 인근에서 만난 소비자와 자영업자의 목소리다. 지난 7일 환경부는 카페, 식당 등의 매장 내에서 플라스틱 빨대 사용 금지 계도 기간을 연장하고 종이컵 사용을 전면 허용한다는 일회용품 관리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소비자와 자영업자 모두 한목소리로 반긴 것. 다만 일회용품 사용 금지를 주장하던 환경단체나 일회용품 대체재를 만드는 업체를 중심으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날 만난 카페 이용객 조모씨(30)는 "환경 면에서도 현재까지 나온 대체재를 쓰는 게 효과가 약하다고 들었다"며 "일회용품 사용을 줄인다면 도움이 되겠지만 대안이 분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조건 사용을 금지한 게 옳았는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실제 일부 종이 빨대의 경우 액체에 쉽게 녹지 않도록,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에틸렌(PE) 등으로 코팅하기 때문에 재활용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소비자뿐만 아니라 자영업자들도 일회용품 대체재에 대한 부담을 토로했다. 환경부의 '재질별 빨대 생산 단가' 자료에 따르면 플라스틱 빨대는 개당 10~15원, 종이는 35~45원, 쌀은 55~70원, 대나무는 100~200원 순이다.

신촌역 인근 카페를 운영하는 김모씨(55)는 한달에 1봉에 1000개들이 플라스틱 빨대 20봉을 사용한다. 플라스틱 빨대에서 종이 빨대로 바꾸게 되면 한달에 매출원가 50만원이 더 나가는 것이다. 김씨는 "고객들은 빨대 없으면 음료를 안 먹는데 플라스틱 빨대를 아예 없애면 어쩌나 고민했다"며 "안 그래도 물가가 올라 재료비도 비싼데 빨대까지 전부 바꾸면 부담이 크다"라고 강조했다.

정부 결정을 모두 반기는 것은 아니다. 환경단체의 경우 정부의 정책이 일관되지 않아 혼란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24일부터 매장 내에서는 플라스틱 컵과 종이컵, 플라스틱 빨대 등 일회용품을 이용할 수 없다는 규제를 내놓으면서 1년간 계도기간을 제시한 바 있다. 오는 24일 계도기간 종료를 앞두고 이번에는 종이컵에 대한 제한은 푼 것이다. 또 플라스틱 빨대에 대한 계도기간은 연장하면서 그 기한은 발표하지 않았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