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오늘의 미디어 시장

SKT, AI 기술로 ‘전파방송 기술대상’ 장관상 수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AI기반 위치분석 플랫폼 리트머스로

도시, 교통, 환경 문제 해결 인정받아

통신 데이터 특성 활용해 서비스 범위 확대하고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이데일리

13일 열린 제 24회 전파방송기술대상 행사에서 류탁기 SKT 인프라 기술 담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13일 열린 제 24회 전파방송기술대상 행사에서 류탁기 SKT 인프라 기술 담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13일 열린 제 24회 전파방송기술대상 행사에서 류탁기 SKT 인프라 기술 담당(왼쪽 세번째)이 전파방송 기술대상 수상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이 AI 기반 위치분석 플랫폼 ‘리트머스(LITMUS)’을 개발하고 성공적으로 상용화한 성과로 제24회 전파방송 기술대상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국내 통신·방송 분야 산업체에서 개발한 우수한 기술을 선정해 시상하는 것으로, SK텔레콤은 리트머스를 통해 지자체, 도시, 교통, 환경 등의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한 노력과 개방형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를 통해 데이터의 접근성을 높인 점 등을 인정받아 수상했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특정 프로그램의 일부 기능이나 소프트웨어를 다른 소프트웨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다.

리트머스는 기지국 위치 데이터를 AI가 분석하여 이동 목적, 수단 등의 위치 지능형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로, 서울, 경기, 부산, 인천 등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용됐다.

SK텔레콤은 리트머스에 AI 실내외 유동인구 기술, 탄소 배출량 분석 기술, 실시간 교통량 및 신호 최적화 기술 등을 꾸준히 적용하고 있으며, 리트머스의 분석 데이터에는 금융, 공공 등 이종 데이터를 결합하고 AI 모델을 고도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향후에는 통신 데이터의 특성을 활용하여 위치분석 서비스의 범위를 확대해 기존 차량 중심에서 보행자, UAM 등 다양한 이동수단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리트머스 AI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계획이다.

이전에도 SK텔레콤은 ‘GSMA 글로벌 모바일 어워드2023’에서 리트머스 기술로 수상하며 AI 기반 위치분석 기술력을 성공적으로 인정받은 바 있다. 11월 23일부터 25일까지 부산에서 개최되는 ‘2023 대한민국정부박람회’에서는 ‘AI Company로의 혁신’을 주제로 리트머스 서비스를 소개할 예정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