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주택 살아도 빈대 물리는 건 피할 수 없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빈대 출현으로 인해 빈대 공포증(Bedbug Phobia)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지금 나타난 우리나라 빈대는 유럽이나 동남아 등 외국에서 옮겨온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공통적 견해다.
이처럼 빈대가 나라간 이동이 가능한 건 엄청난 생존력 때문이다.
빈대가 피를 빨아먹지 않더라고 1년 가까이 살아남을 만큼 강한 생존력을 갖고 있기에 이 나라에서 저 나라까지 장시간 이동하는 동안 흡혈하지 않고 견딘 뒤 도착후 숙주(사람)를 찾아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빈대 전문가인 신이현 한국방역협회 소장은 13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빈대 공포로 인해 벌레만 보면 깜짝 놀라는 상황과 관련해 "빈대는 몸색이 암갈색이고 전체적으로 타원형이고 날개가 없다"며 "모기처럼 날아다니는 것도 보이지 않고 모기도 없는데 몸에 뭐가 반복적으로 물린다면 일단 빈대를 의심해 봐야 한다"고 했다.
신 소장은 "빈대는 더럽고 깨끗하고, 호텔이 5성급이냐 아니냐 하고는 관계 없다"고 했다.
이어 "그렇다고 청소를 안 해도 되느냐는 건 아니다"라며 "청소를 열심히 하고 정리정돈을 잘하면 청소하는 도중에도 나도 모르게 빈대를 진공청소기로 빨아들여서 잡을 수도 있고 빈대를 확인할 때 굉장히 정리정돈이 잘돼 있고 청소가 잘돼 있으면 확인이 굉장히 쉽다"고 역시 위생과 주변 청소가 중요하다고 했다.
빈대 생존력에 대해선 "빈대 암컷은 평생 동안 200개 이상의 알을 낳는다. 배고픔도 오래 견뎌서 온도가 15도 정도로 맞을 경우 굶고도 1년 정도까지 살 수 있다"고 했다.
신 소장은 "빈대가 먼 거리, 나라와 나라를 이동할 수도 있는 것은 바로 그런 생존력 때문이다"며 생존력에선 바퀴벌레는 빈대에 상대가 안 된다고 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