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1 (일)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가을의 끝자락에 떠나고 싶은 국내 고택 5곳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관광공사 추천 11월 가볼 만한 곳

남양주 여유당부터 구례 온조루까지

뉴스1

전남 구례 온조루 누마루에서 바라본 풍경(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슬빈 여행전문기자 = 가을의 끝자락, 고택이 품은 이야기 속으로 떠나보자. 근현대사의 흔적을 따라 사색을 즐겨도 좋고 조선의 대학자 집에서 하룻밤 머물러도 좋다. 옛 자취가 새겨진 너그럽고 포근한 풍경이 마음을 따스하게 한다.

14일 한국관광공사는 11월 추천 가볼 만한 곳으로 '이야기가 있는 고택' 5곳을 선정했다.

해당 여행지는 △경기 남양주 여유당 △인천 중구 인천시민애집 △충남 논산 명재고택 △경남 함양 일두고택 △전남 구례 온조루다.

뉴스1

여유당에는 정약용 선생의 정신이 서려있다(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1

곡선이 완만해 오르기 쉬운 전망대에서는 팔당호를 시원하게 조망할 수 있다(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약용의 숨결이 서린 곳, 남양주 여유당

다산 정약용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에서 나고 자랐다. 이곳에 그의 숨결이 서린 여유당이 있다.

1800년 정조가 승하하자 정약용은 고향으로 내려와 사랑채에 여유당(與猶堂) 현판을 걸었다. 여유는 '조심하고 경계하며 살라'는 뜻이다. 다산은 조심히 살겠다고 다짐했으나, 이듬해부터 18년 동안 강진에서 유배 생활을 했다.

고향으로 돌아온 정약용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여유당에서 '목민심서', '흠흠신서' 등을 정리했다. 선생이 살던 생가는 1925년 대홍수로 떠내려가 1986년에 다시 세워졌다.

사랑채와 안채로 구성되며 다산의 성품처럼 소박하다. 여유당 뒤 언덕에 정약용선생묘(경기기념물)가 언덕 아래 선생이 쓴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이 있다.

여유당과 정약용선생묘가 자리한 정약용유적지를 여행할 때는 배우 정해인이 녹음에 참여한 오디오 가이드를 이용하자. 유적지 운영 시간은 오전 9시~오후 6시(월요일, 1월 1일, 명절 당일 휴관), 입장료는 없다.

정약용유적지 건너편에 실학을 주제로 꾸민 실학박물관이 있다. 다산생태공원은 팔당호를 시원하게 조망하는 곳으로 반려동물과 산책도 할 수 있다.

뉴스1

인천시민애집 외관(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1

인천시민애집_1883모던하우스의 사랑채 쉼터와 대청마루 쉼터에서는 투명 유리창 너머로 제물포정원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천 근현대사 중심지, 시민의 공간으로…인천시민애집

인천시민애(愛)집은 인천항 인근에 자리한 자유공원 남쪽에 있는 복합 문화 공간이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사업가가 저택을 지어 살던 곳을 인천시가 매입, 한옥 형태 건축물을 올리고 시장 관사로 활용했다. 이후 인천시청이 이전해 인천역사자료관으로 쓰이다가, 2021년 7월 재정비를 마치고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개방했다.

인천시민애집은 크게 세 공간으로 나뉜다. '1883모던하우스'는 과거 시장 관사를 개조한 근대식 한옥이다. 일본식 저택이 있었을 때 모습을 간직한 '제물포정원'이 그 주변을 감싼다.

경비동은 인천항과 개항로 주변을 조망하는 '역사전망대'로 이용하고 내부는 전시관 역할을 한다.

인천시민애집 주변으로 개항기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공간이 많다. 개항기 서양인이 사교 모임을 하던 구 제물포구락부(인천유형문화재) 건물이 대표적이다.

대불호텔전시관에는 한국 최초 서양식 호텔에 관한 이야기가 가득하다. 전국 각지에서 활동한 작가들의 근대문학 작품을 한눈에 살펴보고 싶다면 한국근대문학관을 추천한다.

뉴스1

장독대와 고택이 그림 같은 풍경을 완성한다(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1

문을 열었을 때 누마루 모습(명재고택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세히 보아야 더 어여쁜 '논산 명재고택'

논산 명재고택(국가민속문화재)은 평생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 연구와 후대 교육에 전념한 조선 대학자 명재 윤증의 집이다. 고택은 안채와 광채(곳간채), 사랑채, 사당으로 구성된다.

보존 상태가 양호한 조선 양반 주택의 가치에 실용성과 과학적 원리가 돋보이는 한옥으로 꼽힌다. 미닫이와 여닫이 기능을 합친 안고지기를 활용한 사랑채, 일조량과 바람의 이동을 고려한 안채와 광채 배치 등 선조의 지혜가 돋보인다.

안채로 들어가는 문 뒤에 내외 벽을 설치하고 벽 아래 틈을 둬 안채 대청에서 방문객의 신발을 보고 안주인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한 점도 눈에 띈다.

인공 연못, 장독대, 고목 등이 운치를 더한다. 후손이 거주하고 있어 지정된 장소 외 출입을 금한다. 고택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오후 4시(하절기 오후 5시까지, 명절 연휴 휴관), 관람료는 없다.

논산 돈암서원(사적)은 조선 중기 정치가이자 예학 사상가 사계 김장생을 기리며 건립했다. 현종 때 사액서원(조선시대 왕으로부터 서원명 현판과 노비·서적 등을 받은 서원)이 됐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한국의 서원'으로 등재된 9곳 중 하나다.

뉴스1

사랑채 곳곳에 편액이 걸려 있다(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1

안채 뒤쪽에 있는 곡간(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탁한 마음을 씻는 집…함양 일두고택

함양 일두고택(국가민속문화재)은 일두 정여창의 집이다. 성리학의 대가 정여창은 동방오현에 오른 유학자로 평가받는다. 지금 남은 고택은 정여창이 세상을 뜨고 약 1세기가 지나 건축했다.

입구 솟을대문에 정여창 가문이 나라에서 받은 정려 5개가 있다. 사랑채에는 정여창의 후손이 사는 집이란 사실을 말해주는 문헌세가(文獻世家) 편액이 걸렸고 그 뒤 방문 위에는 충효절의(忠孝節義)라고 커다랗게 쓴 종이가 붙었다.

누마루에서는 마당에 조성한 석가산(石假山) 풍경이 보인다. 이곳 천장 모서리에도 탁청재(濯淸齋) 편액이 걸렸다. '탁한 마음을 깨끗이 씻는 집'이란 뜻이다.

사랑채 옆으로 난 일각문을 지나면 여성의 공간인 안채로 연결되고, 곡간과 정여창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 차례로 나온다.

일두고택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함양 남계서원(사적)은 정여창이 세상을 떠나고 그를 기리는 지역 선비들이 세웠다. 남계서원 바로 옆에 문민공 김일손을 추모하는 함양 청계서원(경남문화재자료)이 자리한다. 함양박물관을 방문하면 함양군의 역사와 유물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뉴스1

문과 문을 통해 자연을 바라볼 수 있는 가옥의 구조(한국관광공사 제공)


뉴스1

안채 2층 다락은 집안 여인네들이 바깥 풍경을 바라보며 쉬던 공간이다(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품이 너른 평온한 집, 구례 운조루

'구름 속의 새처럼 숨어 사는 집'이란 뜻을 담은 운조루(雲鳥樓, 국가민속문화재)는 너그럽고 포근한 고택이다. 1776년(영조 52) 류이주가 낙안군수를 지낼 때 지은 집이다. 250년 가까이 잘 보존된 외관은 물론, 고택에 스민 정신이 면면히 전해온다.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류씨 집안은 타인능해(他人能解)라고 새긴 뒤주에 쌀을 채워 가난하고 어려운 이웃이 가져갈 수 있게 했다.

사랑채와 안채, 행랑채, 사당, 연지로 구성된 고택은 규모가 제법 크지만, 화려한 장식 없이 소박하다. 부드러운 산세가 한눈에 들어오는 사랑채 누마루는 운조루의 백미로, 문인들이 풍류를 즐긴 곳이다. 수분실(隨分室)이라는 현판을 걸어 절제 있는 삶을 지향하고, 굴뚝은 낮게 만들어 이웃을 배려했다.

구례는 맑고 깨끗한 섬진강이 흐르는 도시다. 섬진강어류생태관에서 다양한 민물고기와 멸종 위기종인 수달(천연기념물) 한 쌍을 만날 수 있다. 매월 끝자리 3·8일에 여는 구례5일시장은 갖가지 주전부리를 파는 청년점포가 생기를 더한다.

seulbi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