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354억원 매수···전월 200배
국내 中펀드에도 614억원 유입
바이오·소비재·반도체 위주 담아
경기 회복·미중 관계 개선 기대
"지수보다 유망 테마 중심 투자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투자자들이 최근 4개월에 걸친 ‘차이나 엑소더스(탈출)’를 멈추고 이달 들어 중국 주식과 펀드를 1000억 원가량 사들였다. 투자 전문가들은 내년 상반기까지 중국 증시의 완만한 반등세를 예상하며 경기회복 신호가 뚜렷해지기 전까지는 반도체·바이오 등 유망 테마 위주로 투자할 것을 조언했다.
1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은 이달 들어 14일까지 중국 주식을 2693만 달러(약 354억 원)어치 사들였다. 투자자들은 올 6월부터 9월 말까지 중국 주식을 총 8251만 달러(1074억 6102만 원)어치 팔았고 지난달 4개월 만에 순매수로 돌아섰지만 매수 규모는 14만 달러에 그쳤다. 최근 2주간 순매수 규모가 10월 한 달에 비하면 200배 가까이 커 중국 증시에 대한 투자 심리가 급격히 개선되고 있는 셈이다.
이달 들어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들인 중국 주식은 신약 연구개발(R&D) 업체인 우시앱텍(2056만 달러)였다. 장쑤우중 의약그룹(7만 6812달러), 상하이 푸싱의학(3만 9840달러) 등 다른 바이오·제약 관련 주식도 샀다. 중국 고급 백주 제조사인 마오타이(917만 달러), 중국 화장품 기업 프로야(35만 달러), 폴리에스터 생산 업체 통쿤그룹(24만 달러) 등 중국 소비재 업체도 순매수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반도체 기업인 중국 웨이퍼레벨 CSP(12만 달러)에 관심을 보이는 투자자도 눈에 띄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197개 중국 주식형 펀드에도 이달 들어 13일까지 614억 원이 유입됐다. 특히 최근 1주일간 ‘미래에셋차이나H레버리지2.0(1억 8370만 원)’ ‘골든브릿지차이나백마주(9732만 원)’ ‘삼성차이나(5299만 원)’ ‘미래에셋차이나H인덱스(5035만 워)’ 등 61개 펀드에 353억 원이 새로 유입됐다. 금융 당국의 공매도 금지 조치 이후 같은 기간 개인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총 1조 3940억 원을 내던진 것과도 대조적인 모습이다.
중국 주식형 펀드는 연초 이후 올 7월 12일까지 8487억 원의 자금이 새로 유입되며 전체 설정액이 10조 130억 원까지 늘었지만 이후 현금이 줄줄이 빠져나가면서 이달 13일 기준 설정액은 9조 4882억 원 수준이다.
이달 들어 중국 증시는 안정세를 보이며 바닥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실제로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5월 초 3350.46에서 지난달 말 3018.77로 6개월 만에 9.89% 떨어졌으나 이달 들어 1.2% 올라 3056.07까지 회복했다. 이날 미중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간 분쟁이 완화될 수 있다는 낙관론도 투자 심리를 자극한 요인으로 분석됐다.
투자 전문가들은 중국 경기가 조금씩 회복하면서 증시도 내년 상반기까지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관측했다. 중국의 내수 경기 가늠자 역할을 하는 소매 판매와 산업 생산 지표가 개선되고 있고 중국 기업들의 재고 조정이 마무리 국면에 진입해 가동률도 다시 뛰고 있기 때문이다. 연말쯤 중국의 향후 5년간 경제정책 방향이 제시되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3중전회)’에서 내수 부양 조치가 나올 가능성에도 주목한다.
다만 투자 전문가들은 중국 부동산 시장의 불안감이 여전하고 미중 갈등이 쉽사리 해결되기 어려운 이슈여서 전반적인 지수 흐름보다는 테마 중심으로 접근하라고 조언했다. 박인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1조 위안 국채 발행 조치는 반쪽짜리 부양책이었고 내년에도 미중 갈등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수출이 잘되고 있는 전자제품·자동차·기계 등 유망 업종에 선별 투자하는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 증시는 지지력을 타진하는 구간이나 반등 동력은 아직 부족하다”며 “지수의 흐름보다는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반도체·소프트웨어, 바이오·제약 등 테마 중심의 투자에 나서는 게 낫다”고 전했다.
성채윤 기자 cha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