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댓글 전쟁 우려에…네이버, '답글' 서비스 개편안 철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핵심요약
네이버, 뉴스 '답글 허용' 서비스 닷새 만에 중단
"기존에 이용하던 방식 그대로 댓글을 사용"
총선 앞두고 트래픽 장사 지적…특정 이슈 논쟁 과열 우려
노컷뉴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가 자사 뉴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답글 허용' 서비스 개편을 추진했지만 닷새 만에 이를 철회한다고 20일 밝혔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특정 이슈 관련 논쟁이 과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이날 공지사항을 통해 "뉴스 댓글 내 인용답글 작성 기능의 부작용 우려가 있어 해당 기능을 제외한다"며 "아직 사용자 경험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조기 종료로 이용자 혼선을 드리게 돼 죄송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댓글에 일반 답글 작성은 지난 16일 이전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면서 "댓글을 통해 건강한 소통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협조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기존 네이버는 뉴스 댓글에 대댓글만 달 수 있었지만, 지난 16일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논란이 됐다.

네이버는 당시 '커뮤니티 기능 강화' 차원에서 특정 대댓글에 또 답글을 달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한다고 했다.

이를 두고 특정 이슈를 두고 대댓글과 답글 작성자 사이에 논쟁이 과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특히 오는 2024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이념 공방이 고조되는 등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노컷뉴스

네이버뉴스 공지사항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 IT 업계 관계자는 CBS노컷뉴스와 통화에서 "네이버가 과거 실시간 검색어나 연예인 기사 댓글창 등을 폐쇄하면서 수익성이 많이 하락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포털에서 체류 시간이 광고 단가로 이어지는데 이를 고려해 개편을 시도한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네이버는 개편안에 대해 이용자당 댓글과 답글 작성 수를 각각 20개와 40개로 제한한다고 해명했지만 전격적인 철회로 이전과 동일한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