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이슈 세계 금리 흐름

中 사실상 기준금리 3개월째 동결..美금리 격차 확대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디플레이션 우려에도 위안화 약세, 자본 유출 등 위험 고려한 듯

파이낸셜뉴스

[인민은행 홈페이지 캡처]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석 달 연속 동결했다. 디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지만, 미국과 금리 격차 확대 여지가 아직 남아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20일 중국 인민은행은 11월의 1년 만기 LPR은 3.45%로, 5년 만기 LPR은 4.20%로 각각 홈페이지를 통해 고시했다. 전월과 변동이 없으며, 다음 달 발표 때까지 유지된다.

LPR은 명목상으로는 18개 지정 은행의 최우량 고객 대출금리 동향을 취합한 수치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모든 금융 기관이 이를 대출 영업 기준으로 삼아야 해 실질적으로 기준금리 역할을 한다.

1년 만기 LPR은 신용대출, 기업대출 등 광범위한 대출 상품에 영향을 준다. 기업의 단기 유동성 대출이나 소비자 대출 금리와 관련이 있다. 5년 만기는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가격 책정 기준이 되고 제조업의 투자 대출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장기 금리다.

LPR 동결은 이미 예상됐다. 지난 15일 LPR과 연동되는 것으로 알려진 정책금리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를 조정하지 않으면서 LPR 동결도 예고했다.

또 인민은행은 이미 올해 두 차례에 걸쳐 LPR을 조정했다. 6월에는 1년 만기와 5년 만기 LPR을 동시에 0.1%p 낮췄고, 8월에도 1년 만기 LPR을 0.1%p 내렸다.

아울러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완전히 닫힌 것이 아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이달 10일 국제통화기금(IMF) 패널 토론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물가상승률을 2%까지 낮추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이 같은 기조를 달성했다고 확신하기 어렵다”고 여지를 뒀다.

미국과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지면 위안화 약세, 자본 유출 등 부작용이 확대될 위험이 있다. 주중국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중국에서 외국인직접투자(FDI)의 감소 원인 중 하나가 미중간 현격한 금리 차이”라고 설명했다.

소비를 늘리고 기업들의 숨통을 틔워주기 위해 추가 경기 부양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는데도, 금리를 쉽사리 내리지 못하는 이유가 설명되는 대목이다.

광다은행 금융시장부의 저우마오화 분석가는 “MLF 금리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부동산 시장을 위한 일련의 정책과 조치가 발표됐으며, 적극적인 재정정책도 여지가 있다”면서 “국내 경제도 회복 추세”라고 주장했다.

다만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점은 당국의 경기 부양책을 기대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중국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작년동월대비 -0.2%로 집계됐다. 생산자물가지수(PPI)는 -2.6%로 기록되며 13개월째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했다.

중국의 PPI는 생산자가 얻는 소비재와 노동력 판매 가격의 평균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다. 생산자가 소비재와 노동에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면 늘어난 원가만큼 소비자에게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PPI가 내려갈 경우 CPI도 시차를 두고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PPI는 CPI의 선행지표로 간주된다.

소비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 9월 실적도 1년 전과 견줘 7.6% 늘었지만, 고정자산투자는 8개월째 내리막 추세를 벗어나지 못했고, 부동산 개발투자 증가율(1~10월) 역시 -9.3%로 8개월째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금융기관의 지급준비율 인하 등 다른 정책 수단을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할 것이라는 관측도 상존한다.

지준율은 은행이 고객으로부터 받은 예금 가운데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적립해야 하는 현금 준비 비율을 말한다. 이를 낮추면 은행은 자금에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시장에 더 많은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다. 금융기관은 직접적인 자본 이탈이 없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작다. 경기 안정화라는 정책적 신호를 시장에 명확하게 확인시켜주는 기능도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