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오픈AI서 쫓겨난 ‘챗GPT’의 아버지 샘 올트먼, MS로 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격적 사업화에 내부 ‘쿠데타’로 축출…MS “첨단 AI 리서치팀 이끌 것”

경향신문

미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오픈AI에서 쫓겨난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사진)가 마이크로소프트(MS)로 이직한다. 복직 문제를 놓고 올트먼은 오픈AI 이사회와 막판 협상을 벌였으나 무산됐다.

생성형 AI의 등장을 알린 ‘챗GPT’ 개발 주역인 올트먼은 8년 전 자기 손으로 세운 회사를 떠나게 됐다.

사티아 나델라 MS CEO는 19일(현지시간) “샘 올트먼이 MS에서 새로운 첨단 AI 리서치팀을 이끌게 됐다”고 밝혔다.

앞서 오픈AI 공동창업자이자 이사회 멤버인 일리야 수츠케버는 “올트먼의 복귀는 없을 것”이라고 직원들에게 최종 공지했다.

임시 CEO는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트위치의 공동창업자인 에밋 시어가 맡기로 했다. 나델라 CEO는 시어에 대해 “그들과 협력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픈AI 이사회는 지난 17일 올트먼을 전격 해임했다. 표면적으로는 “의사소통이 솔직하지 않다”는 이유를 댔다. 일각에서는 수츠케버를 중심으로 한 오픈AI 이사회 내부의 ‘AI 이상주의자’들이 범용인공지능(AGI)의 위험성을 경시하고 사업화를 우선시한 올트먼을 축출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더해, 올트먼이 해임 직전 독자적으로 AI 반도체 회사를 세우려 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대량의 AI 작업에 특화된 텐서처리장치(TPU)를 만드는 스타트업을 설립하려 했다는 것이다. 엔비디아보다 낮은 비용으로 AI 칩을 생산해 자체 서비스 운영비용을 낮추고, 관련 시장에서 기회를 포착하려는 목적이었다. 오픈AI의 대주주인 MS도 이런 프로젝트에 관심을 뒀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 올트먼은 AI 중심 하드웨어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등과 투자 논의를 벌였다고 한다.

오픈AI는 2015년 올트먼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수츠케버 등이 설립한 회사다.

주말 사이 MS 등 주요 투자자들은 올트먼을 CEO 자리에 복귀시키라고 이사회를 압박했다. 이에 올트먼과 오픈AI 이사회는 이날 장시간 협상을 벌였으나 결렬됐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 독립언론 경향신문을 응원하신다면 KHANUP!
▶ 나만의 뉴스레터 만들어 보고 싶다면 지금이 기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