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김포 서울 편입' 추진 논란

메가시티 서울, 편입 넘어 수도권 재편 논의로 확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세훈 "모든 지자체 아우르는 서울시 편입 통합연구반 운영"

이동환 고양시장 "16만명이 서울로 통근·통학"

서울-고양 공동연구반 꾸려 객관적·과학적 분석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최근 여권이 띄운 ‘메가시티 서울’에 대해 수도권 재편으로 판을 키우기로 했다. 단순히 기존 인접 지자체의 행정구역 편입 논의를 넘어 서울과 국가경쟁력 확대 차원에서 심도있게 들여다보겠다는 취지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1일 서울시청에서 이동환 고양시장을 만나 “김포, 구리, 고양 등 관련 지자체와 서울시가 모두 참여하는 ‘서울시 편입 통합연구반(가칭)’을 별도 구성해 연구를 종합적으로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일대일 통합을 넘어 도시경쟁력 제고를 위해 '수도권 재편'까지 포함해 큰 틀에서 종합적으로 논의를 이어간다는 구상이다.

오 시장의 이번 면담은 김포시장, 구리시장에 이은 세 번째 경기도 지자체장과의 회동으로 고양시는 난지물재생센터, 서울시립승화원 등 서울과 각종 사회기반시설을 공유하고 있는 밀접 자치단체다. 서울시는 개별 지자체와의 ‘공동연구반’ 운영을 통해 양 지자체의 행정·재정·조직 등 기초 현황과 편입 관련 문제점 및 장애요인 등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할 방침이다.

이 시장은 “고양에서 서울로 통근·통학하는 인원은 약 16만 명으로, 서울에 인접한 지자체 중 가장 많을 뿐만 아니라 서울과 6개 자치구를 접한 가까운 이웃 도시”라고 말했다. 서울시와 고양시는 공동연구반을 꾸려 객관적·과학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양 도시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기존의 김포, 구리 외에 특례시인 고양까지 아우르는 광역권으로 논의 폭을 확대하면서 흐름을 주도하고, 인구 100만 명이 넘는 대형도시이면서도 서울 생활권 아래 '베드타운'의 한계를 고민해왔던 고양시는 교통·행정 편의 등 실리를 챙기겠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오 시장은 “메가시티 논의는 이해관계가 첨예한 수도권 광역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기회”라며 “수도권뿐만 아니라 부·울·경, 광주권, 대구·경북권 그리고 대전·충청·세종 등 지방으로도 진지하게 확장해야 할 시점이 됐다”고 말했다.

김창영 기자 kcy@sedaily.com황정원 기자 garden@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