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공급 부족에 집값 상승? "쉴틈 없이 공급, 대책 효과 3~6개월 내 체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송승현의 손바닥부동산] 9·26 대책 두달, 어떤 역할 했나



(서울=뉴스1) 황보준엽 박혜성 조윤형 기자 = 정부가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내놨습니다. 국내 부동산 시장의 위축으로 주택 공급에 차질이 생기고 있어서인데요. 주택 인허가와 착공이 전년과 비교해 모두 떨어지는 등 이상신호가 뚜렷해진 상황입니다. 공급 부족은 시장의 불안을 자극할 요인인 만큼 급박한 시점이라고 정부는 판단했습니다.

그렇게 대책이 작동된 지 50여일이 지났습니다. 당시 대책에는 건설사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PF 지원을 확대하고, 공공부문에선 택지를 추가 확보하는 등 방안이 포함됐습니다. 건설업계에선 한숨을 돌리게 됐다는 이야기도 나오는데요.

뉴스1은 임상준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과 사무관을 만나 대책에 따른 효과와 전망 등을 들어봤습니다.

-민간 공급 활성화를 유도하고자 했는데 고금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사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는지.(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

▶자금 조달 지원방안을 내세운 것 자체가 일단은 작년 채권시장 불안 이후로 지나치게 PF시장이 경색됨으로 인해서 공급이 상당히 위축이 된 상황이라는 인식 하에 이 방안을 준비한 것이다.

PF같은 경우는 핵심이 공적 보증 확대인데, 이는 대출을 원활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은행의 리스크 프리미엄을 낮춰줌으로써 금리 부담을 완화해 준다는 효과도 같이 기대를 할 수 있어 업체들의 부담이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임상준 국토부 주택정책과 사무관)

뉴스1

(뉴스1TV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공택지 전매제한이 1년 한시 완화됐는데, 연장할 계획은.

▶전매제한 같은 경우는 벌떼입찰이라든지 여러 가지 부작용을 방지하려고 원칙적으로는 안되는 것으로 규정을 해놓은 것을 공급 활성화를 위해 한시적으로 완화를 한 것이다. 현재 단계에서 1녀 이후에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를 논의하는 건 시기상조라고 생각한다. 내년 이후에 시장 상황을 봐가면서 검토할 문제다.

-청약 때 무주택으로 간주하는 기준가격(소형주택 수도권은 1억3000만원→1억6000만원, 지방 8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했다.)을 상향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수요가 워낙 제한적이기도 하고, 그만한 가격대는 드물다는 지적도 있다.

▶사실은 시세 기준이 아니고 공시가격 기준이다. 수도권이 1억3000만원에서 1억6000만원으로 상향이 됐다고 하면 시세로는 2억에서 2억4000만원 정도까지 상향이 된 것이다. 이런 경우는 2억4000만원 이하라고 한다면 소위 주거 사다리라고 하는 신축 소형 비아파트가 분포해 있는 가격대다.

-대책 발표 이후 개선된 점이 있는지.

▶인허가나 착공 물량이 9월 말에 발표를 했으니까 10월 물량이 나와야 되는데 아직 집계가 안 된 상황이다. 다만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개선되고 있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PF 사업장의 대출 상담 건수라든지 비아파트 건설 자금 같은 경우도 최근에 문의가 상당히 많이 들어오고 있다.

뉴스1

(뉴스1TV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피스텔 주택 수 제외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는데, 당시 대책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계획이 없는지.

▶오피스텔 주택 수 제외 같은 경우는 다른 주택 공급 방안이랑은 약간 결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인위적인 수요 촉진 같은 경우는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오피스텔 같은 특정한 주거형태에 대해서는 다른 규정을 적용해서 지원을 하는 것이 적절한가에 대해서 시장 상황을 봐가면서 판단할 필요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wns8308@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