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이슈 세계 속의 북한

부산서 만난 한·중 외교장관···왕이 “한반도 안정에 도움 역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26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시그니엘 부산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양자회담에서 박진 외교부장관이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중 외교장관이 26일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 개최에 앞서 부산에서 만나 양자 문제와 지역 및 글로벌 현안을 논의했다. 양 장관은 당초 예정된 1시간을 훌쩍 넘겨 2시간 동안 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박진 외교부 장관은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촉구했고, 중국 측은 한반도 상황의 안정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외교부가 전했다.

박진 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은 이날 오전 부산의 한 호텔에서 만났다. 두 사람의 만남은 지난 7월 인도네시아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을 계기로 이뤄진 회담 이후 4개월여 만이다.

외교부는 이날 양 장관이 상호존중, 호혜, 공동 이익에 기반한 건강하고 성숙한 한·중 관계를 발전시켜 나간다는 기본적 공감대를 재확인하고, 최근 아세안 정상회의와 항저우 아시안게임 등 계기에 이뤄진 정상 차원의 교류와 소통을 토대로 상호 이해와 신뢰를 높이고 협력의 공감대를 넓혀나가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양국은 이를 위해 외교 안보 대화, 외교차관 전략대화, 1·5트랙 대화 등 다양한 수준에서 전략적 소통을 강화해 나가자는 데 공감했다. 박 장관은 이 자리에서 공급망의 안정적 관리, 중국 내 한국 기업 활동 보호, 게임, 영화 등 문화 콘텐츠 교류 활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왕 위원의 방한은 지난 2021년 9월 이후 약 2년2개월 만이다.

회담에선 최근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등 북한 핵·미사일 문제가 논의됐고, 박 장관은 9·19 남북 군사합의에서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한 조항을 효력정지한 배경을 설명했다.

박 장관은 이 자리에서 정부가 국민의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방어적 조치로 9·19 군사합의 일부 조항을 효력 정지한 데 대해 북한이 9·19 군사합의에 대해 구속되지 않을 것이라는 추가 도발을 위협하고 책임을 전가하는 태도를 지적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그러면서 박 장관은 북한이 추가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의 길로 나오는 것이 한·중의 공통 이익에 해당되는 만큼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과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강조했다. 또 중국 내 탈북민 강제 북송과 관련해 한국의 반대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부산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국 측이 대북 문제 관련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강조하자 왕 위원은 전반적인 (한반도의) 현 상황에 대한 우려를 전하고 한반도 안정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민감해 하는 대만 문제에 대해서도 서로 입장을 전달했다. 이 당국자는 “대만 문제를 포함해 중국이 핵심 이익이라고 하는 부분에 대한 중국 측 입장 설명이 있었고, 우리 정부도 기본 입장을 전했다”고 했다. 중국 측은 대만 문제는 내정이며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처리되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이며, 우리 측은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박진 장관은 이날 오전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과 한·일 외교장관 회의를 가졌다.

부산에서 만난 한·중·일 외교장관들은 오찬을 한 뒤 3국 외교장관 회담을 이어간다. 이번 3국 외교장관 회의는 약 4년 만에 열리는 것으로 한중일 3국 정상회의 등에 대해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당초 3국 외교장관 회의 후 공동 기자회견을 추진했으나 왕이 위원의 일정 문제로 성사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 | 박은경 기자 yama@kyunghyang.com

▶ 독립언론 경향신문을 응원하신다면 KHANUP!
▶ 나만의 뉴스레터 만들어 보고 싶다면 지금이 기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