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구글코리아, 노조 약 올리지 말라”…역삼역 2번 출구 앞 경고 현수막 붙은 사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나연 기자] “구글코리아는 뺀질거리며 노동조합 약 올리지 말고 대한민국 헌법이 보장하는 단체교섭 성실히 임하라!”, “구글노조의 승리는 모든 외국계 IT 기업의 승리”, “구글코리아는 사내 노동조합 활동을 보장하고 지부의 이메일과 회의실 사용을 보장하라!”

1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구글코리아지부(이하 구글코리아 노조)는 최근 구글코리아 사옥 앞에 이러한 내용의 규탄 현수막을 다수 게시했다. 노사는 첫 단체협약 체결을 위해 지난 8월부터 실무교섭까지 포함, 20여 차례 교섭을 진행했지만, 협상에 진전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구글코리아 노조는 지난 4월 출범했다. 올해 상반기 빅테크인 트위터·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메타에 이어 구글 본사와 구글코리아도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면서 구글코리아 직원들은 ‘일방적인 인원 감축’에 반기를 들었다. 노조가 앞서 조직 출범 소식을 알리면서 전한 구글코리아 소속 직원은 680여명, 구글클라우드코리아 소속 직원은 170여명 규모다.

현재 구글코리아와 노조 측은 본교섭 진행을 위한 기초합의서까지 작성을 완료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노사 간 견해차로 인해 단체협약까진 체결하지 못한 상태다.

김경수 구글코리아 노조 정책실장은 “노사가 교섭할 때 당연히 회의실이 필요한데 사측은 사내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업무 시간 교섭도 허용하지 않고 있다”며 “노조가 활동을 홍보하기 위해 활용하려는 회사 이메일 계정도 사용하지 말라는 상황”이라며 이번 현수막 부착 이유를 비롯해 논의가 더뎌진 이유를 밝혔다.

앞서 김종섭 구글코리아 노조 지부장도 지난 21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국제사무직노조연합 아시아태평양지역(UNI APRO) IT노동자 네트워크회의에서 “회사 이메일로 노조를 홍보하니 사측은 외부 물건 판매 금지를 목적으로 한 규정을 언급하며 회사 이메일을 쓰지 말라고 하더라”며 “그동안 한국 기업이 노조 활동을 제약하는 전형적 태도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단체협약은 노조에 대한 활동을 인정하는 것과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부문 두 영역으로 구성된다. 지금으로선 이들 협의 모두 전혀 진척이 없다는 게 구글코리아 노조 측 설명이다.

다만, 구글코리아 노조는 아직 기자회견이나 단체행동 등 추가적인 움직임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김경수 정책실장은 “회사와 논의가 진행 중인 만큼, 올해 연말과 내년 초까진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