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빈대 공포 확산

서울 '빈대' 출몰 건수 89건···절반이 여기서 나왔다는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에 출현한 빈대의 44%가 고시원에서 발견된 것으로 나오자 시가 중점관리에 나섰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서울에서 발생한 빈대 건수는 총 89건이다. 그중 39건(44%)이 고시원에서 발견됐다.

시는 자치구에 고시원 관리 전담 인력을 지정하고 총 4852개의 고시원을 직접 방문해 빈대 발생 여부를 점검하도록 했다.

고시원마다 방 1~2개를 표본 조사해 빈대 서식 가능성이 높은 침대나 매트리스, 장판 등에 빈대, 탈피 흔적, 배설물 등이 있는지 평가한다.

빈대 출현이 의심되면 시설 전체를 점검한다.

빈대가 발견되지 않은 고시원에는 예방 행동수칙을 교육하고 자율점검표를 배부해 빈대 발생 여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도록 한다.

빈대 발생 시 즉시 서울시 발생 신고센터나 보건소, 120다산콜센터에 신고하도록 안내한다.

서울시는 쪽방촌, 고시원 등 주거 취약시설의 빈대 방제 지원을 위해 지난달 10일 5억 원을 긴급 교부한 데 이어 추가로 특별교부세 2억 원을 교부해 집중 관리할 예정이다.

쪽방촌과 고시원에서 빈대 발생이 확인되면 빈대 피해와 단계에 따라 보건소에서 자체 방제를 실시하거나 민간 전문업체를 통해 최대 3회 총 300만 원 이내에서 방제비를 지원한다.

방제 이후로도 10일 간격으로 2회 추가 점검을 실시해 빈대가 박멸됐는지 특별관리한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빈대는 시민 불편이 커지기 전에 발생 초기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주거취약시설에 대해서는 자율방제가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관리를 광화하고 모든 행정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남윤정 기자 yjnam@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