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고시원 등 4852곳 점검
최대 3회·300만원 방제비 지원
최대 3회·300만원 방제비 지원
지난달 9일 오전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에서 방역업체 직원들이 고열스팀 소독을 하고 있다. [이충우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에 출현한 빈대의 44%가 고시원에서 발견돼 서울시는 고시원 등 주거취약시설에 대한 중점관리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
지난달 21일 기준 서울시의 쪽방촌 빈대 발생 건수는 남대문 쪽방촌 1건, 서울역 쪽방촌 2건 등 총 3건으로 확산세가 강하지 않은 편이나, 쪽방촌의 열악한 주거환경 특성상 빈대 발생 시 확산 가능성이 크다고 시는 설명했다.
서울시가 취약시설 4852곳을 현장 점검한 결과 지난달 29일 기준 서울시의 빈대 발생 건수는 총 89건으로, 이 중 고시원이 39건(44%)으로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또한 고시원 영업주들을 위한 교육 동영상 자료를 제작하고 한국고시원협회, 시·구 홈페이지에 게시해 회원들이 자율적으로 빈대 예방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의 각 자치구에서도 전수점검 결과를 토대로 방제계획을 수립하고 방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공지문 등을 통해 주민들에게 빈대 예방수칙과 신고방법도 안내하고 있다.
서울시는 쪽방촌, 고시원 등 주거 취약시설의 빈대 방제 지원을 위해 지달 10일 5억원을 긴급 교부한 데 이어 추가로 특별교부세 2억원을 교부해 집중 관리할 예정이다.
또한 시는 노인요양시설, 주야간보호시설, 노인복지관 등 어르신이 주로 이용하는 생활시설과 이용시설을 대상으로도 ‘빈대확인 및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시설에 배포해 점검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