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너무 올랐나? 뉴욕증시·금값 일제히 하락[딥다이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그동안 너무 달렸나요. 랠리를 이어가던 뉴욕증시가 4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마감했습니다. 연준이 금리인하로 돌아설 거란 기대감이 너무 과도했다고 보기 때문인데요. 이날 다우지수는 –0.11%, S&P500 –0.54%, 나스닥지수 –0.84%를 기록했습니다. 시가총액이 큰 메가캡 종목들이 비교적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죠.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금 투자자들이 품고 있는 질문은 이것입니다. ‘과연 연준이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킬까요?’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내년 3월부터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해, 내년 연말까지 총 1.25%포인트 금리를 내릴 걸로 전망하고 있죠. 현재 5.25~5.50%인 기준금리가 내년 말 4.00~4.25%로 하락할 거라는 기대인데요. 혹시 이런 기대가 너무 앞서 나간 건 아닐까요. 골드만삭스의 프라빈 코라파티 전략가는 “시장이 단기적인 경기침체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그럴듯하게 가격을 책정할 수 있는 한계에 접근하고 있다”고 신중한 입장인데요.

시장은 좀더 확실한 지표를 필요로 합니다. 이번주 금요일에 나올 미국의 월간 고용보고서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이죠. 모건스탠리의 크리스 라킨은 “고용보고서에서 냉각추세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2024년 금리인하 전환이 지연될 수 있단 우려가 다시 제기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동아일보

사상 최고치 찍고 급락한 금값. 게티이미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눈에 띄는 건 국제 금값의 움직임인데요. 4일 아시아 거래에서 현물 금값은 장중 온스당 2152.3달러까지 치솟으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었죠. 하지만 이날 뉴욕 거래에서는 2.5% 급락해 2024.1달러로 마감했습니다.

금 가격은 미국 달러 가치와 채권 수익률에 일반적으로 반비례하죠. 연준이 곧 금리 인하에 나설 거란 기대감이 금 가격을 들썩거리게 만들었던 요인인데요. 전쟁 같은 지정학적 불확실성도 금값 상승을 뒷받침하는 배경입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금값은 2000년대 들어 600% 이상 상승했는데요.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1980년 1월의 850달러(현재가치로 환산하면 3000달러 이상)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합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금값은 과연 기관투자자들이 금 기반 상장지수펀드(ETF) 매수에 다시 뛰어들 것인가에 달려있는데요. 금 ETF 보유규모가 2020년 최고치의 5분의 1에 머물러있기 때문입니다. By.딥다이브

*이 기사는 5일 발행한 딥다이브 뉴스레터의 온라인 기사 버전입니다. ‘읽다 보면 빠져드는 경제뉴스’ 딥다이브를 뉴스레터로 구독하세요.
https://www.donga.com/news/Newsletter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애란 기자 haru@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