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지역정치와 지방자치

최태원 SK 회장 “한일 경제협력체, EU 같은 단일시장 모델로 가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인근에서 열린 ‘2023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에서 개막 연설을 하고 있다. SK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4일(현지 시간) “한국과 일본이 유럽연합(EU) 같은 단일 시장 형태의 경제협력체로 발전한다면 엄청난 시너지가 생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동북아시아 평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미일 3국의 안보 협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한일 경제연합체가 본격화하면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와 저성장이라는 한일 양국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미중 전략 경쟁과 북한 위협에 따른 안보 위협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이날 최종현학술원이 미국 수도 워싱턴 인근에서 개최한 ‘2023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PD)’에 참석해 “한국과 일본은 그동안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에서 많은 혜택을 누려왔으나 지금은 그 혜택이 사라지고 있으며 큰 시장이던 중국은 이제 강력한 경쟁자로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은 고령화 문제와 인구 감소, 낮은 경제성장률 문제에 함께 직면해 있으며 지금의 경제적 위상을 더 이상 유지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EU 같은 경제 협력 모델”이라고 밝혔다.

이날 TPD에 참석한 한미일 전현직 고위 당국자들도 한일 및 한미일 경제 협력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캠프 데이비드 합의를 비롯한 한미일 3국 협력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만큼 한미일 협력을 제도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크 리퍼트 전 주한 미국 대사는 한미일이 5, 6개 핵심 기술을 지정해 공급망 상황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경제 보복 공동 대응 체제를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리퍼트 전 대사는 “무엇이 가장 민감하고 우선순위에 있는 기술인지 공동 리스트를 만들어 이 기술들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원재료와 공급망을 특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성환 전 국가안보실장은 한일 경제협력체 구상에 대해 ”한일 정부가 독일과 프랑스의 유럽석탄철강공동체 같은 형태의 경제공동체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며 ”한일 정부가 이를 장기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실장은 “(한미일) 3국 협력을 총괄하고 조율할 수 있는 3국 협력 사무국을 조속히 설립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후지사키 이치로 전 주미 일본대사도 한일 경제협력체 구상에 “매우 좋은 생각”이라며 “한일 간 가장 중요한 분쟁 해결 메커니즘부터 시작해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최 회장은 이날 그룹 경영진 개편에 대해 “새로운 경영진에게, 또 젊은 경영자에게 기회를 줘야 하는 때가 오는 것”이라며 대대적인 인사 개편을 예고했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