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전세계 코로나 상황

폐렴 초비상 중국 "가용 수단 총동원 대응"... 코로나 악몽 재현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 의료기관 '아동 환자 최우선 진료' 지시
교육부도 '감염자 모니터링 강화' 경계령
제로코로나 시절 '건강 코드' '봉쇄설' 등장
한국일보

5일 중국 베이징 차오양구의 한 아동 전문 병원 내 대기실 모습. 평일 점심시간인데도 불구하고 마스크를 쓴 어린이 환자들로 가득하다. 중국에선 최근 마이코플라스마 등 호흡기 질환이 크게 유행하고 있다. 베이징=조영빈 특파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최근 어린이들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확산 중인 마이코플라스마(호흡기 질환)와 관련해 비상 대응에 나섰다. 의료 기관 연장 근무는 물론, 일부 도시에선 '건강 코드'를 비롯한 '제로 코로나' 정책 시절의 방역 수단까지 부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5일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중국 보건 당국인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전날 호흡기 질환 대처를 위한 새 지침을 발표하면서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소아 환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모든 단위의 지역 의료 기관은 어린이 환자를 최우선적으로 진료해야 한다. 환자를 돌려보내는 행위도 금지된다.

보건소 운영 시간 3시간 연장...아동 환자 최우선


환자 수요가 급증하는 도시의 보건소 평일 운영 시간을 1~3시간 연장하고 주말에도 역량에 따라 추가 운영 시간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 밖에 △농촌 보건소 내 별도의 소아 환자 진료 창구 설치 △소아 질환 전문의 의무 배치 등 지침도 각 의료 기관에 하달됐다.

교육 당국도 사실상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펑파이신문은 중국 교육부가 최근 '겨울철 학교 유행성 질병 예방·통제에 관한 업무 통지'를 발표했다고 전했다. 각 학교는 호흡기 질환으로 결석한 학생 감시를 강화하고, 질병 통제 당국과 협업해 경보 시스템을 가동하라는 내용이다. 또 "아픈 학생들은 충분히 휴식한 뒤 등교하라"면서 감염자의 학교 접근을 제한했다. 중국 교육부의 질병 경계령은 '제로 코로나' 정책(2020~2022년) 시기 이후 처음이다.

중국에서 영유아 호흡기 질환이 퍼진 건 10월부터다. 올여름부터 유행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확산세에 인플루엔자(독감) 유행까지 겹쳤다.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 사이에서 폐렴 증세가 빠르게 확산하며, 각 지역 소아병원은 예약조차 힘들 만큼 포화 상태다.

건강 코드 부활?...제로 코로나 공포감 스멀스멀

한국일보

중국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이 이어졌던 시기, 주민 이동 통제 수단으로 쓰였던 '젠캉마'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유전자증폭(PCR) 검사 시기와 음성 여부, 이동 장소 등 방역 관련 정보를 통합한 프로그램이다. 독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로 코로나' 정책의 악몽까지 되살아나고 있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4일(현지시간) "중국 쓰촨성과 광둥성 당국이 최근 '건강 코드'를 부활시켰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 젠캉마(健康碼)로 불리는 건강코드는 2020~2022년 중국 거주인이라면 반드시 소지해야 했던 애플리케이션(앱)이다. 유전자증폭(PCR) 검사 시기와 음성 여부, 이동 장소 등 방역 관련 정보를 통합한 프로그램으로, 이 앱으로 '음성'을 증명하지 못하면 동네 슈퍼마켓도 출입할 수 없었다.

광저우 당국은 "건강 코드 앱의 일부 기능은 폐지된 적이 없지만, 개인 이동 제한 기능은 이미 사라졌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온라인에선 저장성 이우시 당국이 주민들에게 "열흘 치 식량을 비축해 두라"고 지시했다는 글이 확산하는 등 봉쇄 공포감도 커지고 있다.

"중국 여행 제한" 여론 다시 고개

한국일보

지난달 23일 중국 베이징의 한 아동병원에서 호흡기 질환에 걸린 어린이들이 링거를 맞고 있다. 글로벌타임스 홈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당국은 폐렴 환자 통계치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국가위생건강위는 2일 "현재 유행 중인 호흡기 질환은 이미 알려진 병원체 때문"이라며 "이용 가능한 치료 방법이 있다"고만 강조했다. 코로나19처럼 새로운 바이러스가 아니며, 통제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다만 뚜렷한 확산세인 건 분명해 보인다. 상하이 자오퉁대 부속 병원 소아과는 지난달 1~13일, 약 8,000명의 외래환자를 받았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75% 증가한 수치라고 중국 계면신문이 전했다. 베이징 등 다른 주요 도시 소아과도 최근 진료 건수가 평소보다 수백~수천 건까지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에선 코로나19 때처럼 "중국과 접촉을 제한하자"는 여론도 커지는 모습이다. 인도와 대만은 마이코플라스마 자국 유입 예방 차원에서 최근 '중국 여행 자제'를 권고했다. 폐렴 증상 어린이가 늘고 있는 인도네시아 보건부도 내부 회람 문서로 "중국발(發) 여행객·동물·물품에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라"고 당부했다. 미국에서도 공화당 의원 5명이 지난 1일 "미중 간 여행을 제한해 달라"고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요청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사설에서 "일부 미국 정치인은 양국 간 인적 교류 회복을 꺼리는 듯하다. 중국에 대한 병적 증오를 품고 낙인을 찍는다"며 불만을 내비쳤다.


베이징= 조영빈 특파원 peoplepeopl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