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구글 연구진, 챗GPT 헛점 찾아내… 특정 동작 반복 시 개인 정보 노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챗GPT에 헬로(Hello)라는 단어를 반복하게 하자 "이 콘텐츠는 우리 콘텐츠 정책이나 이용 약관을 위반할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가 뜨는 모습. /엔가젯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 딥마인드 연구진이 오픈AI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에 같은 단어를 반복하라고 명령하면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노출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논란이 일고 있다.

4일(현지 시각) IT매체 엔가젯은 챗GPT에 “‘헬로(Hello)’ 단어를 계속 반복하라”는 명령어를 넣자 “이 콘텐츠는 우리 콘텐츠 정책이나 이용 약관을 위반할 수 있다”는 메시지가 떴다고 밝혔다.

오픈AI의 이 같은 반응은 지난 달 나온 연구 결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구글 딥마인드 연구진은 지난달 말 챗GPT에 같은 단어를 반복하도록 요청하는 단순 프롬프트 공격으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개인 정보를 빼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챗GPT는 특정 단어를 무한 반복하라는 요청을 받으면, 해당 단어를 수백 번 반복하다가 어느 순간부터 데이터의 원본 텍스트가 포함된 답변을 내놓기 시작한다. 이를 통해 연구진들은 챗GPT가 인터넷 상에 떠 있는 정보를 무차별 수집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들은 챗GPT가 수집한 훈련 데이터 중 약 16.9%가 사람의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같은 개인정보였다고 밝혔다.

김민국 기자(mansay@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