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주시 문산읍 장산리에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를 안장하려던 유족의 계획이 무산됐다.
파주 시장과 지역 시민단체가 반발한 가운데 토지 매매 가계약 기간이 완료됐는데도 본 계약이 체결되지 않자, 토지주가 매매하지 않기로 했다.
해당 토지의 소유자 A 씨는 6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가계약 기간이 이미 끝났는데 본 계약이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매물을 거둬들였으며 앞으로도 팔 생각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해당 토지에 캠핑장과 요양원을 짓기 위해서는 군 당국의 동의가 있어야 하는데 매수자 측에서 이 절차를 마무리하지 못해 정식계약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2021년 11월 23일 사망한 전 전 대통령의 유해는 유족이 장지를 구하지 못해 현재 연희동 자택에 2년째 임시 보관 중이다. 전 전 대통령은 퇴임 이후 내란 및 군사 반란죄로 대법원에서 무기징역을 확정받아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없다.
생전 회고록에서 전 대통령은 '북녘땅이 내려다보이는 전방 고지에 백골로라도 남아 통일의 날을 맞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따라 유족은 휴전선과 가까운 곳에 안장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이 소식이 알려지면서 겨레 하나 파주지회 등 파주지역 11개 시민단체가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을 열고 "장산리에 쿠데타, 광주학살, 군부독재, 민중 탄압의 상징인 전두환이 묻힐 자리는 없다. 나아가 파주 그 어디에도 학살자 전두환을 편히 잠들게 할 곳은 없다"고 반발했다.
김경일 파주시장도 지난 1일 페이스북을 통해 "시민의 뜻을 받드는 시장으로서, 이 나라의 민주주의를 지키는 한 사람의 국민으로서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수많은 국민의 목숨을 앗아간 사람의 유해가 파주시에 오는 걸 용납할 수 없다"는 뜻을 밝혔다.
YTN 최가영 (weeping07@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뉴스 속 생생한 현장 스케치 [뉴스케치] 보기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