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취업과 일자리

인구 고령화에 일자리 중심 세대 ‘40대→50대’ 역세대교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연령별 일자리 현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0대가 차지한 일자리 규모가 처음으로 40대를 제쳤다. 60세 이상 일자리가 1년 새 44만개가 늘어날 때 청년층 일자리는 1만 9000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저출산·고령화 충격파가 노동 시장을 강타한 것이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일자리는 2645만 2000개로 전년 대비 87만개(3.4%) 증가했다.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일자리 점유율이 가장 큰 세대는 634만 9000개(24.0%)를 차지한 50대였다. 40대는 630만 6000개(23.8%)로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50대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노동시장의 중심축이 40대에서 50대로 옮겨가며 역세대교체가 이뤄진 것이다.

일자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세대는 60세 이상으로 1년 전보다 44만개(10.0%) 급증했다. 전체 일자리 증가분의 절반(50.3%)이 60세 이상의 몫이었다. 반면, 19세 이하와 20대를 묶은 청년층의 일자리 증가분은 전년 대비 1만 9000개(0.5%)에 불과했다. 고령층과 청년층의 늘어난 일자리 개수의 격차는 23배에 달했다. 경제활동인구·비경제활동인구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인구 규모만 비교하면 지난 10월 기준 15~29세 청년층 인구는 832만 7000명, 60세 이상 인구는 1381만 4000명으로 두 세대 간 인구 격차는 1.7배였다.

지난해 고령층 일자리가 급증한 건 문재인 정부가 일자리 예산으로 31조 3000억원을 투입해 공공부문 일자리 105만개, 이 가운데 노인 일자리를 84만 5000개 집중적으로 늘린 결과로 풀이된다. 민간 영역에서도 인건비가 적게 들고 비정규직도 마다하지 않는 고령층의 고용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노인 일자리 증가는 고령화 시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일자리 ‘파이’가 한정돼 있다 보니 고용 시장에서 청년층의 입지를 좁힌다는 부작용을 일으킨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노인 일자리 증가로 청년층 일자리가 감소하면 경제에 활력이 떨어질 수 있다”면서 “잠재성장률 회복을 위한 신산업 육성은 청년층 고용이 필수”라고 말했다.

세종 이영준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