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회사채 금리 뛰자 은행 몰렸다... 기업·자영업자 대출 1875조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분기 산업대출 잔액 역대최대
제조·건설·서비스업 등 증가세


국내 기업과 자영업자가 은행에서 빌린 대출금이 올해 3·4분기 1875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예금은행의 대출태도가 완화되면서 지난 2·4분기 대출 증가폭이 1년 만에 확대된 데 이어 시장금리 상승으로 기업들이 회사채 발행보다 은행 대출을 선호한 결과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2023년 3·4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에 따르면 산업대출금 잔액은 올해 3·4분기 기준 1875조7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2조30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2·4분기(68조4000억원) 이후 1년 만에 오름폭이 확대된 전분기(24조8000억원)보다 증가폭이 늘어난 데다 2분기 연속 증가세다.

서정석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대기업이 회사채 금리가 높아지자 은행 대출을 선호하고 은행들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주택담보대출보다 기업대출에 주력한 것이 맞물린 결과"라며 "경제 규모가 커지고 금융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업대출금 규모가 늘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 주춤했던 제조업 대출이 반등했다. 제조업 대출은 3·4분기 10조3000억원 확대돼 1분기 만에 증가 전환했다. 반도체 등 수출회복세에 시설투자와 운전자금 수요가 모두 증가했기 때문이다.

서비스업 대출도 3·4분기 16조9000억원 늘면서 지난 2·4분기(14조원)에 이어 2분기 연속 증가폭을 키웠다. 특히 금융 및 보험업의 경우 카드사, 증권사의 예금은행 차입이 늘며 전분기 8000억원 감소에서 3·4분기 7000억원 증가로 증가 전환했다.

부동산업은 부동산 개발사업이 진척되고 상업용 부동산 거래가 늘면서 증가폭이 전분기 6000억원에서 올 3·4분기 8000억원까지 늘었다. 상업용 건축물 거래량은 올 1·4분기 3만7000호에서 3·4분기 4만3000호까지 늘어났다.

건설업은 1·4분기 9000억원 증가에서 올 2·4분기 1조9000억원 증가한 이후 3·4분기에도 2조원 증가하며 증가 규모를 유지했다. 건설원가 상승에 따른 자금수요가 이어지고 미분양 감소, 정부의 PF사업장 안정화 대책 등이 작용한 결과다.

운전자금은 3·4분기 14조6000억원 증가하며 5분기 만에 증가폭이 확대됐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건설업 모두 증가폭이 확대된 데 따른 것이다.

시설자금도 2·4분기 15조원 증가에서 3·4분기 17조7000억원 증가로 폭이 늘어났다. 건설업이 2·4분기 8000억원 증가에서 3·4분기엔 2000억원 감소했으나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증가폭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업권별로는 예금은행이 대기업을 중심으로 완화적 대출태도를 유지하면서 22조5000억원에서 30조4000억원으로 증가 규모가 확대됐고,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대출태도 강화로 2조4000억원에서 1조9000억원으로 축소됐다.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대출행태 설문 결과 은행의 대기업 대출태도지수는 올해 2·4분기와 3·4분기 모두 3을 기록했으나 중소기업은 같은 기간 0에서 -6으로 떨어졌다.

기업 형태별로는 법인기업이 20조원에서 26조7000억원으로, 비법인기업은 부동산 거래 증가에 따라 부동산을 중심으로 7000억원에서 1조2000억원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