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자산 3.7% 줄고 부채 0.2% 늘었다…부동산 침체가 부른 충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 6월 26일 양도세 상담 문구가 적힌 서울 잠실 공인중개사무소 앞을 시민이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자산이 5억2727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7% 줄어든 반면 부채는 9186만원으로 0.2% 늘었다. 지난 2012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수준이다.

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5억2727만원으로 전년 대비 3.7% 하락했다. 전년 대비 가구 평균 자산액이 하락한 것은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가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가구의 자산에서 가구의 부채를 뺀 평균 순자산 역시 4억3540만원으로 4.5% 줄었다.

중앙일보

김경진 기자



구체적으로 가구 평균 금융 자산은 3.8% 늘어나며 1억2587만원이 됐다. 하지만 부동산을 포함한 실물자산은 지난해보다 5.9% 떨어지며 4억190만원으로 내려앉았다. 우리나라 가구는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데 작년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부동산 침체 영향으로 가구 자산 규모가 줄어든 것이다.

전체 자산으로 금융자산이 23.9%, 실물자산이 76.1%를 차지한다. 여유자금이 생길 때 주된 운용 방법으로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 응답은 50.4%로 는 반면, '부동산 구입'은 23.9%로 줄었다.

기획재정부는 "실물자산 추이가 이전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며 빠르게 증가한 이후, 주택가격 하향 안정화 전환에 따라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평균 부채 9186만원, 전년 대비 0.2%



올해 3월 말 현재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부채는 9186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늘었다. 이는 지난 2012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대 수준이다. 금융부채는 9531만원으로 1년 전보다 1.8% 감소했지만, 임대보증금은 3100원으로 14.2% 늘었다.

연령대별 평균 부채는 40대 가구주가 1억3178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60대 이상 가구주는 1억776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선 소득 분위별로 올해 하위 20%의 부채 증가율이 높은 게 특징이다. 소득 하위 20%의 평균 부채는 지난해 1633만원에서 2004만원으로 늘면서 22.7%로 가장 크게 늘었다. 소득 하위 20% 부채는 지난해에는 2.2% 감소한 바 있다. 반면 상위 20%의 평균 부채 규모는 0.4% 늘었고, 2분위와 3분위에서는 각각 3.7%, 3.0% 감소했다.

지난해 부동산 구입 등을 통한 대출이 많았다면, 올해는 저소득층에서 대출이 늘어난 것이다.

한지혜 기자 han.jeehye@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