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피곤하네"…MZ, 가짜뉴스·사기광고에 인스타·페북 떠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스타, 월간활성이용자 1900만명 선 깨져

인스타와 페이스북 모두 이용자 수 하락 계속

"가짜뉴스·사기광고 안 잡네"…이탈 부추겨

소셜미디어(SNS) 플랫폼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에 가짜 뉴스와 사기 광고 등이 범람하자 국내 모바일 이용자 이탈이 증가했다.

인스타·페이스북 외면하는 이용자들…이용자 수 감소세 이어져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일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인스타그램의 지난달 구글 플레이스토어·애플 앱스토어 합산 국내 월간활성이용자(MAU)는 약 1865만명으로 집계됐다.

MAU란 한 달에 1번 이상 서비스를 사용한 이용자 수를 뜻한다.

인스타그램의 MAU는 지난 8월 1925만명에서 9월 1901만명이다가 10월에는 1885만명으로 1900만명 선이 깨졌다. 지난달 역시 1865만명을 기록해 3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다.

인스타그램은 메타에서 운영하는 사진·영상 중심의 SNS로, 출시 초기부터 큰 인기를 끌었다.

이어 2021년 짧은 영상을 제작·게시하는 '릴스' 출시를 기점으로 Z세대에게도 인기를 끌며 대세 SNS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성장세 둔화가 본격화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때 국내 SNS 1위를 차지했던 페이스북의 MAU는 지난 2월 980만명을 기록해 처음으로 1000만명을 밑돌았다. 이후에도 감소세가 지속하면서 11월(894만명)에는 900만명 선까지 무너졌다.

모바일인덱스가 양대 앱 마켓 합산 분석을 시작한 2020년 5월 이후 페이스북 월 사용자가 900만명에 미치지 못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 결과 2019년 페이스북 이용 경험이 있는 초중고생은 80.3%에 달했으나, 지난해에는 46.1%로 거의 반토막이 됐다. 이처럼 젊은 층의 외면을 받으면서 이용자 수는 앞으로 더 급격히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가짜 뉴스·사기 광고 범람하는데…주 수입원인 광고 탓? '뒷짐' 진 메타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의 이용자 이탈이 이어지는 것은 플랫폼 내 가짜 뉴스와 사기 광고가 범람하는데도 즉각적인 피해 구제와 근본 대책 마련에 미온적인 메타의 태도와 맞물린 것으로 해석된다.

메타는 SNS 플랫폼에 싣는 광고가 주 수입원이다. 그런 이유로 정치 영역까지도 광고를 허용하면서, '가짜 뉴스의 숙주'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허위 콘텐츠가 범람하게 됐다.

페이스북의 경우에도 어느 순간 뉴스피드가 기업·단체의 광고·홍보성 게시글이 자리를 차지하면서 이용자들의 흥미도가 떨어졌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메타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유명인 사칭과 성인 노출 계정, 해킹 등 여러 문제에 대한 근본 대책 마련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해 비판받고 있다.



구나리 인턴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