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전두환과 노태우

'서울의 봄' 흥행에…전두환 호 딴 일해공원 논란 재점화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돌아온 12·12…2007년 개칭 후 이어져

시민단체 "세금으로 만든 공원…시대착오적"

합천군 "내년 상반기 공론화 거쳐 반영"

12·12 군사반란을 그린 '서울의 봄'이 700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하면서 근현대사가 재조명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 경남 합천군에 있는 '일해공원' 명칭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다시 나온다.

12일 합천군 등에 따르면 2004년 '새천년 생명의 숲'이라는 이름으로 개원한 이 공원은 2007년 합천이 고향인 전직 대통령 고(故) 전두환의 호 일해(日海)를 딴 일해공원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영화 '서울의 봄' 예고편[사진제공=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민단체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 고동의 간사는 "최근 영화 '서울의 봄' 개봉 이후 전두환 씨를 비롯한 신군부에 분노를 표하는 사람이 많다"며 "국민의 세금을 들여 만든 공원을 지금처럼 편향적인 이름으로 놔두는 건 시대착오적"이라고 했다.

이어 "일해공원 개칭 이후 지금까지 사회 각계에서 줄기차게 명칭을 다시 바꾸자는 요구가 있었지만 결국 그대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영화(서울의 봄)로 공론화 논의가 더 진전돼 (일해공원) 명칭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해공원은 명칭 개칭 당시부터 지금까지 논란이 이어졌다. 명칭이 바뀌던 2007년 사회 각계에서 찬반 주장이 대립하며 논쟁이 격화됐다. 이러한 논란은 16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존치'와 '변경'이라는 상반된 주장이 맞서 변경 논의가 진척되지 않고 있다.

운동본부는 2021년 일해공원 명칭 변경에 대한 주민 열망이 크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1500여명의 군민 서명을 받아 청원서를 제출했다. 이에 군은 명칭을 바꾸는 지명위원회를 지난 6월 열었다. 그러나 현 일해공원을 새천년 생명의 숲으로 제정하는 게 "적합하지 않다"며 부결했다.

군은 공론화 과정을 거쳐 군민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입장이다. 군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에 공론화 과정을 거칠 예정"이라며 "제3의 기관 등을 통해 군민 의견이 명칭에 반영될 수 있도록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시아경제

한편 군사반란을 막기 위해 애쓴 인물을 기리는 추모행사도 곳곳에서 열린다. 육군본부를 지키다 반란군의 총탄에 숨진 정선엽 병장의 추도식이 12일 오후 광주 북구 동신고 체육관 옆 정선엽 소나무 정원에서 열린다. 고인은 국방부를 점령한 반란군이 자신의 소총을 빼앗으려 하자 공식 명령체계에 따르겠다고 맞서다가 현장에서 사살당했다.

반란 당시 정병주 특전사령관을 체포하러 온 군인들에 맞서 홀로 교전하다 숨진 김오랑 중령 추모식도 이날 김해 삼정동 김오랑 중령 흉상 앞에서 진행된다. 김 중령은 영화에서 배우 정해인이 연기한 오진호 소령의 실제 모델이다.



이이슬 기자 ssmoly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