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한은 "가계대출, 당분간 하향 안정…집값 전망 불확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2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

매매 감소·정부관리에 가계부채 증가세 제약

전세값·아파트 매물 증가는 집값 불확실성 높여

[서울=뉴시스] …
뉴시스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시중은행이 최장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사진은 14일 오후 서울시내 한 은행. 2023.08.14. kgb@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주택 거래량 감소와 정부의 관리 강화 영향 본격화에 가계 대출이 당분간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주택 매매 가격 경로는 전셋값 상승 여부와 아파트 매물 증가 등이 상충하며 불확실성이 높다고 봤다.

주택 거래 감소…가계부채 하향 안정


한은은 14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를 통해 향후 가계대출은 증가세가 제약되며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이 당분간 하향 안정화될 것을 전망했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3분기 기준 100.2%로 34개국 중 1위다. 한은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넘으면 성장과 금융 안정을 저해한다고 평가한다.

가계대출 안정 전망의 근거로는 최근 주택 매매 거래량 감소와 정부의 관리 강화 영향 본격화 등을 꼽았다. 다만 이후에는 주택시장 상황과 정부 정책 등에 상당 부분 영향받아 움직일 것으로 전망했다.

집값은 불확실…전셋값 오름세 vs 정부 관리·매물 증가


향후 주택 시장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주택매매가격은 7월 이후 상승폭이 확대되다가 10월 중 소폭 둔화된 데 이어 가격상승 기대도 다소 하락했다.

반면 전세 가격은 전세대출금리 하락과 월세 가격 상승, 주택 가격 상승 기대 약화 등에 따른 전세 수요 증가로 인해 8월 이후 서울지역 아파트를 중심으로 상승 전환한 뒤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

한은은 내년도 서울지역 입주 물량 감소에 따라 전세 가격이 추가적으로 상승할 경우 매매가격에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아파트 매물 증가 등은 주택가격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앞으로의 주택시장 향방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내다봤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한국부동산원 8월1주(8월 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 올랐고 서울 아파트 가격은 12주 연속 상승, 0.09% 올랐다. 13일 서울 남산에서 시민들이 서울시내 아파트를 바라보고 있다. 2023.08.13. chocrystal@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계대출 연체율, 부동산 하방 위험에 상승 가능성


가계 및 기업 대출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매각 노력이 상승세를 제약하지만, 향후 부동산시장의 하방 리스크를 감안하면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봤다.

최근 가계 대출의 신규 연체는 취약차주와 비은행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고, 기업대출은 부동산 경기 부진에 따른 건설 및 부동산업 연체의 꾸준한 발생으로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 측은 "가계와 기업대출 규모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고금리 환경과 맞물려 연체율 상승 등을 통해 향후 금융안정을 저해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